사랑채 27

전남 나주. 김효병 가옥(金孝炳 家屋) 전남 민속문화재 제11호.

나주 김효병 가옥(金孝炳 家屋)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1호. 전남 나주시 왕곡면 귀엽방하길 15-4(송죽리 226)  경사진 대지에 자리잡고 있는 집으로 앞쪽에 사랑채를 배치하고 뒷쪽에 안채를 두었다. 안채는 조선 후기에 짓고 1924년경에 고친 것으로 추정한다. 안채는 큰방·작은방·부엌 이외에는 모두 마루를 꾸며 특이한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평면에 따라 지붕의 형태가 다르다. 사랑채 지붕은 원래 초가지붕이었다고 하며 매우 간소하게 꾸몄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전남 민속문화재 제11호. 김효병 가옥 안내문. 안내문이 탈색되고 흐려져 제대로 읽기가 어렵다.   사랑채.   문간채.   안채.   안채 옆에는 양봉통이 여러 개 놓여있다.   사랑채 부엌과 굴뚝.   안채 일부분.   문간채와..

문화재 탐방 2016.08.31

전남 구례. 운조루(雲鳥樓)

운조루(雲鳥樓) 전경. 중요민속문화재 제8호.  전남 구례군 토지면 운조루길 59 (오미리)   조선 중기의 집으로 영조 52년(1776)에 삼수부사를 지낸 유이주가 지었다고 한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이곳은 산과 연못으로 둘러싸여 있어 '금환락지(金環落地)'라 하는 명당자리로 불려왔다. 집의 구성은 총 55칸의 목조기와집으로 사랑채, 안채, 행랑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T자형으로 누마루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랑채에는 큰 부엌이 없는데 이곳에는 안채 통로까지 겸한 큰 부엌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랑채와 직각을 이룬 누마루가 있어 전체 살림을 한눈에 관찰하도록 되어있어 특이하다. 안채는 사랑채의 오른쪽에 있는 건물로 사랑채에 비해 규모가 매우 크며 평면이 트인 'ㅁ'자형이다. ..

문화재 탐방 2016.05.23

전남 장흥. 위성룡(魏聖龍) 가옥

장흥 위성룡 가옥 전경. 전남 민속자료 제6호(1986.02.07)  전남 장흥군 관산면 방촌길 101 (방촌리 447)     장흥 위성룡 가옥 안내문. 일반적인 옛날주택의 공간구성은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다르고 사회적인 지위나 신분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주택의 배치와 평면구성에 있어서도 대가족제에 따라 규모가 커지고 남자와 여자를 구별하려는 의식에 따라 거처하고 활동하는 공간이 따로 구분되었다. 집은 전체적으로 동남향을 하여 배치되었고 안채와 사랑채가 있으며 헛간과 곡간채가 있다. 집앞은 솟을대문에는 건물을 지은 내력, 날짜와 시간 등을 적은 상량문이 남아있어 1949년에 지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안채나 사랑채는 시기가 훨씬 올라가 20세기초(1910년대)로 추정된다.  위성룡 가옥..

문화재 탐방 2016.02.24

전남 장흥. 오헌고택(梧軒古宅) 위성탁 가옥

장흥 오헌고택(梧軒古宅) 위성탁 가옥.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7호 (2012.04.13)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1길 44 (방촌리 679)    남도 대농 반가의 대표적 사례로서 안채, 사랑채, 사당, 문간채, 연못 등 축조당시 공간구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보존관리상태도 양호하여 남도 건축문화 연구에 중요하다. 다양한 민속생활사 관련 유물과 자료가 소장되어 있으며, 지역 양반문화 및 향촌 생활사 연구 등과 관련 역사적․민속적 가치가 높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장흥 위성탁 가옥 안내문. 이 집은 한국농촌의 전형적인 양반집의 구조를 잘 보존하고 있는데 안채, 사랑채, 곡간채, 행랑채, 헛간재 등 비교적 규모도 큰 편이다. 건물은 남동향을 하고 있고 일직선으로 배치되었다. 여인들의 생활공간..

문화재 탐방 2016.02.23

전남 해남. 윤탁 가옥(尹鐸 家屋)

해남 윤탁 가옥.중요민속문화재 제153호.  전남 해남군 현산면 초호길 43 (초호리)   윤탁 가옥은 나지막한 야산을 뒤로하고 앞으로 들이 펼쳐진 남향 땅에 자리하고 있는 기와집이다. 안채에서 발견된 기록으로 보아 광무 10년(1906)에 지었음을 알 수 있고, 사랑채와 별당채도 이 시기에 지었다고 한다. 'ㄱ'자형의 문간채, 안채, 별당채와 '一'자형의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동네길과 이어진 낮은 터에 '一'자형 대문간채가 있고, 대문간을 들어서면 문간마당에서 곧바로 사랑마당에 이르게 된다. 문간마당보다 높은 터에 사랑채가 자리하고 있으며 사랑 뒷쪽으로 중문간채가 있다. 그 안에 안채와 별당채가 마주 보고 있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중부지방의 평면구성을 하고 있다. 'ㄱ'자로 꺾인 평면 중 남쪽 ..

문화재 탐방 2015.01.24

전남 함평. 이재혁 가옥. 문화재자료 제250호.

함평 이재혁(李載赫) 가옥.  함평 이건풍 가옥을 둘러보고 함평읍에 들려 이재혁 가옥을 향했다. 대문이 잠겨있어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어 큰 길가에서 담장 안으로 보이는 집안 풍경을 까치발로 들여다 보며 카메라 샷터를 눌러댔다. 그때 필자 외에도 50대 후반쯤으로 보이는 부부가 아들과 동행하여 필자처럼 집안 풍경을 카메라에 담아간다. 이재혁씨는 함평 이씨 항렬로 보아 29世 재(載)자 항렬이니 필자와 29世 재(載)자로서 同 항렬인 듯하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고인이 되신 필자의 선친 함자가 이동범(李東範)으로 이재혁씨 선친 함자와 동명이인이셨다.    함평 이재혁 가옥에 대한 안내문. 함평 이재혁(李載赫) 가옥.지정번호 : 문화재자료 제250호.지정연도: 2004년 02월 13일.소재지: 전남 함평군 함..

문화재 탐방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