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재 12

전남 장성. 장성향교(長城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05호.

장성향교(長城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05호. (1985년 2월 25일)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성산2길 102. 고려 말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394년(태조 3) 북일면 오산리 교촌에 있던 향교를 복원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동현 장안리 장자동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이때 진원현이 장성현과 합해짐에 따라 진원리에 있던 진원향교를 없애고, 장성향교에 합치게 되었다. 효종 9년(1658)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명륜당ㆍ동재ㆍ서재ㆍ대성전ㆍ내삼문 등과 부속건물들이 있다. 경사지에 자리잡은 장성향교는 앞쪽 낮은 터에는 출입문인 ..

문화재 탐방 2024.11.13

전북 군산. 옥구향교(沃溝鄕校) 전북 문화유산자료 제96호.

옥구향교(沃溝鄕校)  전북 문화유산자료 제96호.   *소재지: 전북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50.(옥구읍 상평리 626)   옥구향교는 조선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으로 1403년(태종 3) 옥구읍 이곡리(耳谷里)에 창건되었다. 1484년(성종 15)에 상평리로 옮겼다가 1646년(인조 23)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경내에 대성전, 명륜당, 문창서원, 자천대 등의 전각이 있고, 부속 건물로 외삼문, 내삼문, 교직사 등이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공자를 비롯한 5성, 송(宋) 4현과 한국 18현을 배향하고 있으며, 1984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96호로 지정되었다. 명륜당과 전사재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며, 양사재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문화재 탐방 2024.10.11

전남 신안. 지도향교(智島鄕校)

신안. 지도향교(智島鄕校)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11호. (1984.02.29. 지정) *소재지: 전남 신안군 지도읍 읍내리 112 (서촌길 54-11)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지도향교는 조선 후기 행정 개편으로 건양 원년(1896) 지도군을 새로 설치하면서 1군 1향교 원칙에 따라 지은 향교이다. 이후 1947∼1948년 명륜당을 다시 지었고, 1966년 대성전 수리, 1968년 명륜당을 수리하여 지금과 같은 규모를 갖추고 있다. 봉정산의 완만한 경사지를 2단으로 하여 앞쪽에 교육 공간을 두고, 뒤쪽에 제사 공간을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로,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

문화재 탐방 2022.04.22

전남 신안. 전남 문화재자료 제111호. 지도향교(智島鄕校)

신안. 지도향교(智島鄕校)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11호. (1984.02.29. 지정) *소재지: 전남 신안군 지도읍 읍내리 112 (서촌길 54-11)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지도향교는 조선 후기 행정 개편으로 건양 원년(1896) 지도군을 새로 설치하면서 1군 1향교 원칙에 따라 지은 향교이다. 이후 1947∼1948년 명륜당을 다시 지었고, 1966년 대성전 수리, 1968년 명륜당을 수리하여 지금과 같은 규모를 갖추고 있다. 봉정산의 완만한 경사지를 2단으로 하여 앞쪽에 교육 공간을 두고, 뒤쪽에 제사 공간을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로,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

문화재 탐방 2021.08.25

전북 남원. 운봉향교(雲峰鄕校) 전북 문화재자료 제50호.

운봉향교(雲峰鄕校) 전북 문화재자료 제50호(1984.04.01. 지정)  ▶소재지: 전북 남원시 운봉읍 운봉남길 217-28 (산덕리 600-1)  운봉향교(雲峰鄕校)는 1410년(태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습니다. 1575년(선조 8)에 운봉현의 북쪽에서 가산리로 이건하였는데 1597년 정유재란 때 전소되었고, 1640년(인조 18)에 현재의 위치에 다시 이전하였다. 1758년에 현감 이건(李建)이 중수하였으며, 1967·1970·1973년에 보수하였습니다. 현재 대성전(大成殿)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50호로 1984년 4월 1일에 지정되었다. 향교의 배치는 명륜당이 앞에,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이다. 대성전에는 5성(五..

문화재 탐방 2021.05.17

전남 영암. 구고사(九皐祠) 김완장군 부조묘. 전남 기념물 제49호.

구고사(九皐祠) 전라남도 기념물 제49호.(1981.10.20 지정)    전남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159-4 (화소길 20)   김완장군 부조묘와 구고사는 조선시대(朝鮮時代) 명장(名將)인 김완(金完: 1577∼1635)장군의 영정(影幀)과 위패(位牌)를 모신 사당(祠堂)이다.  부조묘는 김완장군의 신위를 모신 사당이며, 구고사는 그 영정(지방유형문화재 제65호)을 모신 건물로서, 이 두 건물이 모두 정면 3간, 측면 1간, 맞배지붕의 동일한 형태이다.  초창은 김완장군이 서거한 13년(1635년)에 왕명으로 창건(創建)했는데, 중간에 화재를 만나 소실되어 고종 22년(1889년)에 중건하고 1979년에 경내를 확충 정화하여 현재의 형태를 이루었다. 김완장군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라도병마절도사(..

문화재 탐방 2019.12.30

전북 정읍. 도계서원(道溪書院)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9호

정읍. 도계서원 이정표.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9호 (1984.04.01 지정)  다녀온 날: 2019년 5월 5일.   전북 정읍시 덕천면 도계리 464 (도계1길 34-13)    도계서원 외삼문(경앙문)  도계서원(道溪書院)은 1673년(현종 14)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희맹(李希孟)·김제민(金齊閔)·최안(崔安)·김지수(金地粹)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7년(숙종 23) 김제안(金齊顔)과 1840년(헌종 6) 김흔(金昕)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으나, 1913년 유허비(遺墟碑)를 세우고 1962년 유림에 의하여 복원됨과 동시에 김섬(金暹)과 김습(金習)을 추가배향하였다. ..

문화재 탐방 2019.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