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병장 15

전남 화순. 최경회 사당(부조묘:不祧廟) 전남 문화재자료 제64호.

최경회 사당(崔慶會 祠堂)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1984.02.29) *출입문이 잠겨있어 담장 밖에서 촬영하였음..   *소재지: 전남 화순군 화순읍 다지리 206-2번지.    최경회 사당. 부조묘(不祧廟)는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로 1984년 2월 29일에 임진왜란시 제2차 진주성 싸움에서 활약한 최경회(1532~1593)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 순조 때 세운 이 사당은 처음에 능주목 동면 금전리에 세웠다가 1963년 금전 저수지 축조로 지금 있는 자리에 옮겨 세웠다. 최경회 장군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전라남도 능주에서 태어났다. 명종 16년(1561)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1567년에는 과거에 급제하였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일본군을 장수에서 막아 싸웠..

문화재 탐방 2025.02.19

전남 장성. 장흥고씨. 제봉각(霽峯閣)과 의병장 고경명 가족 묘역.

제봉각 솟을대문.  *소재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오동촌길 72-1.  *의병장 제봉 고경명 선생.  광주 압보촌(鴨保村) 출생.본관: 장흥고씨.  고경명[高敬命, 중종 28년(1533)~선조 25년(1592)],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 태헌(苔軒), 본관은 장흥(長興), 시호는 충렬(忠烈), 증조는 고자검(高自儉), 조부는 형조좌랑 고운(高雲), 아버지는 대사간 고맹영(高孟英), 어머니는 진사 서걸(徐傑)의 따님 남평서씨, 배위는 홍문관부제학 김백균(金百鈞)의 따님 정부인 울산김씨, 슬하에 6남2여를 주었는데 아들이 종호(從厚, 문과), 인후(因厚, 문과), 준후(遵厚), 순후(循厚, 진사), 유후(由厚), 용후(用厚, 진사)이다. 명종 7년(1552) 사마시에 1등으로 진사가 되고, ..

발길을 따라 2024.12.06

전남 장성. 의병장. 제봉 고경명 신도비. 전남 기념물 제241호.

제봉 고경명 신도비(霽峰 高敬命 神道碑) 전라남도 기념물 제241호.(2008년  9월 19일)  *소재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430-2.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錦山)전투에서 아들 고종후(高從厚, 1554~1593) · 고인후(高因厚, 1561~1592)와 함께 순절한 의병장으로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새겨놓은 묘지 입구의 신도비이다. 비석은 1800년대 초반에 세워졌으며, 거북이 모양의 좌대(座臺), 글이 새겨진 비신(碑身), 그리고 지붕 역할을 하는 가첨석(加첨石)으로 되어있으며 비문(碑文)은 윤근수가 지었고 비문의 글씨는 윤봉, 비문 위의 전서(篆書)는 윤헌이 썼다.   *의병장 고경명 선생. 본관: 장흥고씨.1533(광주 압보촌(鴨保..

문화재 탐방 2024.12.04

전남 영광. 고흥류씨. 침류정(枕流亭) 전남 문화재자료 제278호.

영광. 침류정(枕流亭)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78호. (2012.10.26. 지정) 침류정(枕流亭)은 조선 후기 정자로서 건립 기록(1876년)이 확인되고 정려와 정자 등 전통 마을 유교경관의 중심지이다. 침류정은 조선 중기 고흥류씨 류익겸(柳益謙)이 세운 정자이다. *바로 옆에 고흥류씨 삼강려가 자리하고 있다. *소재지: 전남 영광군 불갑면 녹산로1길 49. (녹산리 244-4) 침류정. 영광 침류정 안내문. 조선 선조 때의 사람 침류정(枕流亭) 류익겸(柳益謙)의 호를 따서 침류정(枕流亭)이라고 했다 한다. 침류정(枕流亭)은 4면이 모두 열려 있는 개방형 정자로 가구 기법에서 자연스럽게 휜 대들보 상부로 양측에서 곡이 있는 충량이 얹혀지는 ‘+’형이 특히 눈에 띄는 등 역사성, 장소성, 건물의 조형성..

문화재 탐방 2024.06.26

전남 나주. 정렬사(旌烈祠) 전남 기념물 제48호.

정렬사 홍살문.  정렬사(旌烈祠) 전라남도 기념물 제48호. 주소: 전남 나주시 대호동 642번지.  정렬사(旌烈祠)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김천일 장군(1537~1593)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호(號)는 건재(健齋)이며 본관은 언양김씨이며 나주 양성이씨 외가에서 태어나 1573년 군기시 주부등로 있었으며 1578년 임실 현감을 지냈으며 1592년 임진왜란 때 나주에 있다가 고경명, 박광옥, 최경회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김천일 장군은 왜군이 차지한 서울에 결사대를 보내 싸우고 한강 근처에 있는 적을 공격하는 등 크게 활약하였으며 수원에서는 독성산성을 근거리조 하여 금령 전투에서 크게 승리도 하였다. 그 뒤 김천일 장군은 강화도로 근거지를 옮겨 전투준비를 하고 관군 등과 힘을 합쳐..

문화재 탐방 2024.05.17

전남 장흥. 경주김씨. 김응원 각왜비. 전남 문화재자료 288호

김응원 각왜비(金應遠 卻倭碑)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288호 (2018.08.23) *주소: 전남 장흥읍 평장리 602-1 (금안마을) 평장리 금안마을은 경주김씨 두계공파 세거지이다. 조선시대 고종 20년(1883년) 이후부터 - 정유재란 당시 의병장 김응원 공적 기린 행적비. - 의병활동, 향촌사회 생활 알 수 있는 중요 기록 유산. 장흥군 소재 오우당(五友堂) 김응원 각왜비(卻倭碑)가 2018년 8월 23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288호로 지정됐다. 장흥읍 평장리 금안마을에 자리한 각왜비는 정유재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왜군을 물리쳤던 오우당(五友堂) 김응원(金應遠, 1569~1638)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1883년(고종 20년) 만들어진 의병장 행적비로 국난 극복의 원동력인 의병 활동의 과정..

문화재 탐방 2024.03.13

전남 보성. 진원박씨. 죽천 박광전. 산앙정(山仰亭)

산앙정(山仰亭) *주소: 전남 보성군 문덕면 죽산리 894 (죽산길 506-8) 산앙정(山仰亭)은 보성의 의병장 박광전이 1559년 대원사 들어가는 맑은 계곡 너머에 지은 정자(亭子)이다. 박광전(朴光前, 1526~1597)은 진원박씨 후인으로 보성 조양리 태생으로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이며 호는 죽천(竹川)이다. 죽천 박광전(1526-1597)은 의병을 대표하는, 호남의병의 상징적인 인물이다. 하지만 그동안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는 생각까지 든다. 그런 연유로 죽천의 삶을 제대로 아는 사람이 그다지 많지 않은 게 사실이다. 박광전의 삶은 1592년 임진왜란 때 더욱 빛을 발휘한다. 일본이 쳐들어온 지 20일도 안 돼서 임금은 한양을 버리고 의주로 도망갔다. 일본군은 한양에 ..

발길을 따라 2022.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