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병장 15

전남 보성. 진원박씨. 죽천 박광전. 화산재(華山齋)

화산재(華山齋) *주소: 전남 보성군 겸백면 사곡리 303. *필자가 화산재를 1차로 다녀간 때는 2015년 11월 22일이었는데, 이번(2022,10,16)에 다시 찾고보니 화산재가 관리 부실로 인하여 보수가 필요하게 보인다. 박광전(朴光前, 1526~1597)은 진원박씨 후인으로 보성 조양리 태생으로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이며 호는 죽천(竹川)이다. 보성을 빛낸 인물들. 백발의 의병장.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 1526~1597) "호남은 평소 문헌의 땅으로 불려왔는데, 고려 말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학문으로서 세상에 이름을 떨친 사람은 오직 하서(김인후), 고봉(기대승), 일재(이항), 미암(유희춘), 그리고 나의 스승 죽천(竹川)이 있을 뿐이다." 호남을 대표하는 유학자이며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발길을 따라 2022.11.09

전남 장성. 전남 기념물 제241호. 제봉 고경명 신도비.

고경명 신도비(高敬命 神道碑) *고경명 신도비는 제봉각에서 가까운 곳에 자리하고 있다. 전라남도 기념물 제241호. *소재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430-2. 고경명 신도비 안내문.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錦山)전투에서 아들 고종후(高從厚, 1554~1593) · 고인후(高因厚, 1561~1592)와 함께 순절한 의병장으로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새겨놓은 묘지 입구의 신도비이다. 비석은 1800년대 초반에 세워졌으며, 거북이 모양의 좌대(座臺), 글이 새겨진 비신(碑身), 그리고 지붕 역할을 하는 가첨석(加첨石)으로 되어있으며 비문(碑文)은 윤근수가 지었고 비문의 글씨는 윤봉, 비문 위의 전서(篆書)는 윤헌이 썼다. *의병장 고경명 선생. 본관: 장..

문화재 탐방 2022.03.28

전남 장성. 장흥고씨. 제봉각(霽峯閣)과 묘역

제봉각 솟을대문. 제봉각으로 오르는 입구의 돌계단과 주위가 새로이 정비되어 깨끗하고 말끔하다. *소재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오동촌길 72-1. 제봉각(霽峯閣) 전경. 제봉각(霽峯閣)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의 생애와 행적을 기르기 위해 세워진 제각이다. *의병장 고경명 선생. 광주 압보촌(鴨保村) 출생. 본관 장흥고씨. 고경명[高敬命, 중종 28년(1533)~선조 25년(1592)],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 태헌(苔軒), 본관은 장흥(長興), 시호는 충렬(忠烈), 증조는 고자검(高自儉), 조부는 형조좌랑 고운(高雲), 아버지는 대사간 고맹영(高孟英), 어머니는 진사 서걸(徐傑)의 따님 남평서씨, 배위는 홍문관부..

발길을 따라 2022.03.25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정려비각(忠孝洞 旌閭碑閣)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

광주 북구. 충효동 정려비각(忠孝洞 旌閭碑閣) 전경.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1985.02.25) 다녀온 날: 2019년 7월 28일. 광주 북구 충효샘길 7 (충효동 440) 기념물 제4호. 충효동 정려비각 표지석. 충효동 정려비각 안내문. 충효동 정려비각(忠孝洞 旌閭碑閣)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김덕령(1567∼1596)과 그의 부인 흥양이씨, 그의 형 김덕홍(1558∼1592), 그의 아우 김덕보(1571∼1596) 등 일가족의 충효와 절개를 기리기 위해 나라에서 마을 앞에 세운 비석과 비각이다. 김덕령은 그의 형이 고경명의 지휘 아래 참전한 금산전투에서 전사하자 상중(喪中)인데도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의 전라도 진출을 막기 위해 진해와 고성 등지에서 싸웠다. 그러나 ..

문화재 탐방 2019.08.08

광주광역시 서구. 야은당(野隱堂)

광주 서구 야은당(野隱堂) 창수문(唱酬門) 전경. 광주광역시 서구 눌재로 420 (세하동 559-1) 창수문(唱酬門) 현판. 야은당(野隱堂) 광주 서구 서창동 세동마을 입구 위치한 야은당은 1936년 자제들이 거사의 취지(趣旨)와 절의(節義)를 사모하여 노래(老來)에 일세의 고난을 다 버리고 건강과 안락과 서회(敍懷)함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고 액호(額號)를 야은당(野隱堂)이라 하였다. 건물은 정면 3칸에 2칸으로 정내 중앙에 내실로 두었으며 팔작지붕이다. 주련은 한말 대사성, 도승지 등의 벼슬을 지내기도 했던 문신이며 서화가였던 석촌 윤용구(石村, 尹用求)이 썼으며, 조선말 판서를 지냈던 석하(石下) 김만수(金晩秀), 판서 소호 조영희 양정 기남도 의제 기우정 등이 시를 남겨 그에 대한 인품을 ..

발길을 따라 2018.12.17

전남 장성. 변씨 삼강정려(三綱旌閭)

황주변씨 삼강정려(黃州邊氏 三綱旌閭)  전남 장성군 장성읍 화차길 168 (장안리 59-1)      망암 변이중 선생을 모시는 봉암서원 앞에 황주변씨 삼강정려가 자리하고 있다. 삼강정려란? 한 집안에 충신과 열녀. 그리고 효자나 효부를 말하는데, 황주변씨 집안에 변이중의 종제인 충신 변윤중과 그의 부인 열녀 함풍성씨. 그리고 아들 변형윤의 아내 효부 장성서씨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정려이다. 변윤중과 그 부인, 며느리 세분을 위한 것이므로, 그 후 고종 때 당시 전라 감사(도지사) 조종필이 변윤중을 충신으로, 성씨 부인을 열녀로, 그리고 며느리 서씨 부인을 효부로 함께 조정에 올려 변윤중을 이조 참의로 증직하고 삼강정려의 명을 받았다. 망암 변이중 선생의 종제인 변윤중은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평소 거느린..

발길을 따라 2016.04.30

전남 장성. 고경명 신도비(高敬命 神道碑)

고경명 신도비(高敬命 神道碑) 전라남도 기념물 제241호.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430-2.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錦山)전투에서 아들 종후(從厚, 1554~1593) · 인후(因厚, 1561~1592)와 함께 순절한 의병장으로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새겨놓은 묘지 입구의 신도비이다. 비석은 1800년대 초반에 세워졌으며, 거북이 모양의 좌대(座臺), 글이 새겨진 비신(碑身), 그리고 지붕 역할을 하는 가첨석(加첨石)으로 되어있으며 비문(碑文)은 윤근수가 지었고 비문의 글씨는 윤봉, 비문 위의 전서(篆書)는 윤헌이 썼다.  의병장 고경명 선생. 1533(광주 압보촌(鴨保村) 출생. 중종 28)∼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본관..

문화재 탐방 2016.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