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강씨 5

전남 화순. 한산정씨. 삼강문(三綱門)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8호.

한산정씨 삼강문(韓山程氏 三綱門)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8호(2002년 7월 31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율치길 14-4 (신덕리 614) 한산정씨 삼강문 안내판. 한산정씨(韓山程氏) 삼강문(三綱門)은 정득운 · 정득원 · 정득원의 처 한산이씨 · 정덕린의 처 진주강씨 · 정대학 등 5명의 충 · 효 · 열을 기리기 위해 1885년(고종 22)에 세운 문(門)이다. 정득운(程得雲) · 정득원(程得元)은 형제로서, 정득운은 정유재란 때 화순에서 의병을 일으켜 전라도에 침입한 일본군을 방어하다가 순천에서 전사했고, 정득원은 광양만에서의 해상전투 때 전사했다. 1605년(선조 38)에 선무원종공신으로 기록되고 두 사람 모두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정득원의 부인 한산이씨는 부군의..

문화재 탐방 2025.01.08

전남 영광. 진주강씨. 이흥서원(驪興書院) 향토문화유산 제4호.

이흥서원 홍살문. 최근에 세워진 듯 하다.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4호.(2020년 1월 30일)   *주소: 전남 영광군 영광읍 영광로7길 46-79 (학정리 113)  이흥서원을 지키는 견공들이 방문객을 보더니 밥값을 하려고 환장하게 반기며? 엄청 짖어댄다.어렸을 때 맹견에게 크게 물린 적이 있어 트라우마로 매우 무섭고 싫다.  이흥서원 안내도와 안내문.  팔룡지 연원비         &        인제공 강희언 선생 공적비.                                     사죽재공 강희맹 공적비.  팔룡지 조성 헌성금 및 재능기부 현황.  기념식수.사평공 서세 500주년2023년 11월 20일.진주강씨 사평공파 종회.  *위 기념비들은 1차 방문시에는 없었는데 최근에 세워진 것이다..

문화재 탐방 2024.07.01

전남 영암. 진주강씨. 부춘정(富春亭)

진주강씨, 부춘정(富春亭)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4호. (2005.06.13.지정) *주소: 전남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206 (배날리길 58) 영암 부춘정(靈巖 富春亭)은 영암읍 망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사(精舍)로서 청암 강한종(姜漢宗 : 1549~1622)이 교류 및 학문 연마를 위해 지은 정사(精舍)이다. 강한종은 무과에 급제한 후 평양 판관 겸 병마절제사를 지내고 임진왜란에도 참전하였다. 광해군 때에 난정에 상소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귀향하여 지금의 위치에 부춘정을 마련하고 학문의 장으로 삼았다. 진주강씨(晉州姜氏)가 후정 마을에 입향한 때는 1541년경이며 입향조는 강한종의 부친인 강달령(姜達齡: 1522~1584)이다. 이전 세거지는 강진 성전면 금흥리이다. 부춘정에 관한 내용은 ..

문화재 탐방 2022.09.14

전남 영암. 부춘정(富春亭)

영암 부춘정(靈巖 富春亭)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4호.2005.06.13. 영암읍 망호리 206(배날리길 58)   영암 부춘정(靈巖 富春亭)은 영암읍 망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사로서 청암 강한종(姜漢宗)[1549~1622]이 교류 및 학문 연마를 위해 지은 정사(精舍)이다. 강한종은 무과에 급제한 후 평양 판관 겸 병마절제사를 지내고 임진왜란에도 참전하였다. 광해군 때에 난정에 상소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귀향하여 지금의 위치에 부춘정을 마련하고 학문의 장으로 삼았다. 진주강씨(晉州姜氏)가 후정 마을에 입향한 때는 1541년경이며 입향조는 강한종의 부친인 강달령(姜達齡)[1522~1584]이다. 이전 세거지는 강진 성전면 금흥리이다. 부춘정에 관한 내용은 강한종의 현손인 강필문[1622~168..

문화재 탐방 202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