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덕지 6

전남 영암. 전주최씨. 영보정(永保亭) 전남 기념물 제104호.

영암. 영보정(永保亭) 전주최씨 사우. 전라남도 기념물 제104호. (1987.01.15. 지정) *소재지: 전남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296. 영보정(永保亭)은 연촌 최덕지(1384∼1455) 선생이 관직을 떠난 후 영암의 영보촌에 내려가 학문 연구에 몰두하면서 사위 신후경과 함께 지은 정자이다. 최덕지 선생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학식이 높고 행동이 단정하여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으며, 많은 저서를 남겼으나 불타버려서 한 권만 남아 있고 여러 현인들의 논설만 전하고 있다. 처음 있던 정자는 황폐되어서 최정과 신천익(1592∼1661)이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지었다. 정자는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현판은 한석봉이 쓴 것이라고 전한다...

문화재 탐방 2023.09.25

전남 영암. 전주최씨. 합경당(合敬堂)

합경당(合敬堂) 외삼문. 전남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296. 전남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1구 내동부락에는 전주최씨 가문으로 조선전기 영암(靈巖)지방 사족형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연촌 최덕지 가문(烟村 崔德之 家門)의 유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곳이다. 마을에는 그 중에 유서 깊은 전주최씨 문각 합경당(合敬堂)이 자리하고 있다. 이 영당은 1511년(선조11)에 연촌 최덕지(烟村 崔德之; 1384-1455)를 기리기 위해 참의 이중용(李仲庸) 최미수(崔眉壽) 신수(愼樹) 등이 건립했으나 정유왜란을 맞아 훼손되자 나주 가적동에 있는 묘산에 그의 진상(眞像)을 묻어 놓았다가 난이 끝난 후 연촌의 7대손인 동원 최정이 1610년(광해군 2)에 개장하고 이후 11세손인 계당(溪堂) 최흥재(崔興載)가 1716년(..

발길을 따라 2020.09.25

전남 영암. 영보정(永保亭)

영암 영보정(永保亭) 전라남도 기념물 제104호. 전남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296.   영보정(永保亭)은 연촌 최덕지(1384∼1455) 선생이 관직을 떠난 후 영암의 영보촌에 내려가 학문 연구에 몰두하면서 사위 신후경을 비롯하여 전주 최씨, 거창 신씨 문족이 함께 지은 정자이다.  최덕지 선생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학식이 높고 행동이 단정하여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으며, 많은 저서를 남겼으나 불타버려서 한 권만 남아 있고 여러 현인들의 논설만 전하고 있다.  처음 있던 정자는 황폐되어서 최정과 신천익(1592∼1661)이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지었다. 정자는 앞면 5칸· 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현판은 한석봉이 쓴 것이라고 전한다.  영보정은..

문화재 탐방 201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