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가정 3

광주 광산. 영산강 6경, 호가정(浩歌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4호.

광주 광산. 영산강 6경, 호가정(浩歌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4호.(1990년 11월 15일. 지정)   *주소: 광주 광산구 본덕동 1 (동곡분토길 195)   호가정(浩歌亭)은 조선시대에 설강(雪江) 유사(柳泗: 1502∼1571)가 지은 정자로, 호가정이라는 이름은 중국 송나라 소강절이 말한 '호가지의'에서 따온 것이다. 명종 13년(1558)에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불타 없어지고 고종 8년(1871)에 다시 지었다. 그 뒤 1932년과 1956년에 고쳐지었다. 설강은 중종·명종대의 인물로 여러 관직을 지냈으나, 다른 관료의 모함으로 벼슬을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는 당시 이름 높은 유학자들과 교우하였으며, 후대 사람들이 그의 시를 즐겨 읊었다. 죽은 뒤 광주 경렬사에..

문화재 탐방 2022.01.24

광주 광산. 호가정(浩歌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4호.

호가정(浩歌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4호.  광주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     호가정(浩歌亭)은 조선시대에 설강(雪江) 유사(柳泗: 1502∼1571)가 지은 정자로, 호가정이라는 이름은 중국 송나라 소강절이 말한 '호가지의'에서 따온 것이다. 명종 13년(1558)에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불타 없어지고 고종 8년(1871)에 다시 지었다. 그 뒤 1932년과 1956년에 고쳐지었다. 설강은 중종·명종대의 인물로 여러 관직을 지냈으나, 다른 관료의 모함으로 벼슬을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는 당시 이름 높은 유학자들과 교우하였으며, 후대 사람들이 그의 시를 즐겨 읊었다. 죽은 뒤 광주 경렬사에 신위를 모셨으며, 그의 글로는 『설강유고집』과 『위친필봉제축유서』가 전..

문화재 탐방 2016.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