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 불회사 석장승 나주 불회사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 석장승. 중요민속문화재 제11호. 전남 나주시 다도면 마산리 산212-1번지. 나주 불회사 입구에 서있는 2기의 돌장승이다.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마을이나 사찰 입구에 세워져 경계를 표시함과 동시에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의 구실을 하는.. 한국의 사찰 2016.07.11
전남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石佛坐像) 망월사 석불좌상 (望月寺 石佛坐像)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전남 영암군 신북면 호산로 611-35 (이천리) 망월사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불상은 두께가 32㎝나 되는 두꺼운 돌에 양각을 한 여래좌상이다. 불신 뒤에는 배(舟) 모양의 광배가 있으며, 현재 시멘트로 된 직사각형의 대.. 한국의 사찰 2016.07.09
전북 고창. 도솔암 마애불(磨崖佛) 도솔암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200호. 전북 고창군 아산면 도솔길 294, 선운사 (삼인리) 선운사 도솔암으로 오르는 길 옆 절벽에 새겨진 마애여래좌상으로, 머리 주위를 깊이 파고 머리 부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차 두껍게 새기고 있다. 평판적이고 네모진 얼굴은 다소 딱딱하지만 눈.. 한국의 사찰 2016.07.07
전남 영암. 도선국사비각(道詵國師碑閣) 도선국사비각(道詵國師碑閣) 보물 제1395호. 전남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도갑사) 도갑사 도선·수미비는 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이首)를 구비한 석비로 도갑사의 부도전(浮屠田) 부근에 건립된 보호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인 도선국사와 조선시대 수미왕사.. 한국의 사찰 2016.07.06
전남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先覺大師塔碑) 무위사 선각대사탑비(無爲寺 先覺大師塔碑) 보물 제507호.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무위사는 전라남도 강진의 월출산 동남쪽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의 명승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라 하였고, 명종 5년(1550) 태감(太甘)이 4번째로 세우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이 탑.. 한국의 사찰 2016.07.04
전남 진도. 상만리 오층석탑(五層石塔) 진도 상만리 오층석탑(五層石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호.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길 58 (상만리) 상만사 터라고 전해지는 곳에 서있는 탑으로, 현재의 구암사는 과거 상만사라는 절터에 새롭게 절을 지어 오층석탑을 보호하며 관리하고 있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 한국의 사찰 2016.07.02
전남 무안. 목우암(牧牛庵) 목우암(牧牛庵)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72호. 전남 무안군 몽탄면 법천길 482-85. 목우암은 승달산 남쪽 산기슭에 위치한 법천사(法泉寺)에서 약 20∼30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곳은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553년(성왕 30) 덕이(德異) 또는 덕예(德隸)라.. 한국의 사찰 20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