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비 9

전남 영광. 청주한씨. 추원재(追遠齋)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13호.

추원재(追遠齋) 및 한광윤 묘소(韓光胤 墓所)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13호.(2020.12.13 지정) *소유자: 청주한씨 삼제 관리위원회.  *주소: 전남 영광군 법성면 영광로 4길 119 (신장리 744)   추원재(追遠齋)는 고려시대 문신 예빈공 한광윤(韓光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제각으로 ‘귀후의 뜻을 취한다’는 의미에서 추원재라 이름 지었다. 1750년 전라도 관찰사로 재임한 후손 한익모가 재각을 창건했고, 외부에 있는 편액은 한철유가 1787년경 제작한 것으로, 상량문을 통해서 볼 때 현재 재각은 1958년 크게 중건되었다. 또한 추원재 내부에서는 추원재나 묘역과 관련된 다수의 고문서가 확인되었으며, 추원재 뒤편에는 고려시대 문신 예빈공 한광윤을 모신 묘역이 매우 잘 조성돼 있으며, 묘소 앞..

문화재 탐방 2024.07.22

전남 영암. 반남박씨 남곽공 박동열 신도비 & 묘역

박동열 신도비 朴東設 神道碑 *소재지: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엄길리 130-14 조선 후기 문신 박동열(朴東說)[1564~1622]의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열지(悅之), 호는 남곽(南郭)과 봉촌(鳳村)이다. 박조년(朴兆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간 박소(朴紹)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박응복(朴應福)이며, 어머니는 증 좌승지 임구령(林九齡)의 딸이다. 동생이 박동량(朴東亮)이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박동열은 충주목사가 되고 이어서 대사성이 되었다. 이듬해 정인홍(鄭仁弘)이 이황(李滉)을 문묘에 배향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소를 올리자, 이에 분격한 유생들이 정인홍을 유적(儒籍)에서 삭제하는 일이 일어났다. 이 말을 듣고 광해군이 크게 노해 유생들을 투옥시킬 때, 박동열이 이를 말리다가 뜻을 이..

발길을 따라 2022.06.24

전남 장성. 전남 기념물 제241호. 제봉 고경명 신도비.

고경명 신도비(高敬命 神道碑) *고경명 신도비는 제봉각에서 가까운 곳에 자리하고 있다. 전라남도 기념물 제241호. *소재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430-2. 고경명 신도비 안내문.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錦山)전투에서 아들 고종후(高從厚, 1554~1593) · 고인후(高因厚, 1561~1592)와 함께 순절한 의병장으로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새겨놓은 묘지 입구의 신도비이다. 비석은 1800년대 초반에 세워졌으며, 거북이 모양의 좌대(座臺), 글이 새겨진 비신(碑身), 그리고 지붕 역할을 하는 가첨석(加첨石)으로 되어있으며 비문(碑文)은 윤근수가 지었고 비문의 글씨는 윤봉, 비문 위의 전서(篆書)는 윤헌이 썼다. *의병장 고경명 선생. 본관: 장..

문화재 탐방 2022.03.28

전남 영암. 김해김씨. 김완장군 신도비 & 묘역. 전남 기념물 제40호.

김완장군 신도비각 전경.  전남남도 기념물 제40호.(1979년 8월 3일: 지정)   *소재지: 전남 영암군 시종면 만수리 205-7 (만수길 68-6)   김완장군의 본관은 김해. 자는 자구(子具). 아버지는 이성현감 극조(克祧)이다.   조선시대(朝鮮時代) 명장(名將)인 양무공(襄武公) 김완(1577∼1635) 장군은 영암군(靈巖郡) 서호면(西湖面) 구음평(九音坪)(지금의 몽해(夢海))에서 태어나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라도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이복남(李福男) 장군 휘하에서 용맹을 떨쳤고, 그 후 광해군(光海君) 7년(1615) 과거에 급제하여 고산진절제사(高山鎭節制使)를 거쳐 창성방어사(昌城防禦使)로 있을 때 이괄(李适)의 난(亂)이 일어나자 이를 평정(平定)하는데 큰공을 세웠다.  장..

문화재 탐방 2021.11.03

전북 부안. 전북 문화재자료 제111호. 고홍건 신도비 & 효충사

고홍건 신도비(高弘建 神道碑)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1호. (1984.04.01. 지정) *소재지: 전북 부안군 하서면 청호리 811-1 (석불산길 156-6) *신도비란 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낸 사람의 행적을 기록하여 무덤 근처에 세우는 비를 말한다. 고홍건 신도비는 조선 현종 9년(1668)에 고홍건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고홍건(高弘建)은 조선시대 오위도총부도총관,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武臣).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입부(立夫). 영원군(瀛原君). 아버지는 영성군(瀛城君) 고희(高曦)이다. 1580년(선조 13)에 태어났으며 1603년 무과에 급제한 뒤 1613년(광해군 5) 한양의 도성을 지키는 수문장이 되었으며, 조상의 큰 공으로 무관직 6품에 승진되었다. 1624년(인조 2) ..

문화재 탐방 2021.08.06

전남 장성. 박수량 선생 백비(白碑) 전남 기념물 제198호.

박수량 백비(朴守良 白碑) 입구. 전라남도 기념물 제198호.  전남 장성군 황룡면 금호리 11-1.   박수량은 중종 9년(1514)에 벼슬길에 올라 여러 관직을 거쳤는데 명종 원년(1546)에는 청백리에 올랐다. 명종 9년(1554)에 세상을 떠나면서 “시호도 주청하지 말고 묘 앞에 비석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을 정도로 청백리로서 청빈한 삶을 살았다. 그가 죽은 후 장례를 치르지 못할 정도로 빈곤하였다고 한다.  이에 나라에서 장례를 치르게 해주고 일생의 청백한 행적을 글로서 찬양한다는 것은 누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글을 쓰지 않고 상징적으로 백비를 세우도록 하였다고 전한다.  이 백비(白碑)는 박수량의 일생을 통한 청백정신과 행적을 당대는 물론 후세에까지 귀감이 되는 청백정신의 상징적인 유..

문화재 탐방 2015.07.15

전남 나주. 최희량장군 신도비 및 사당과 묘지. 전라남도 기념물 제53호.

최희량 장군 신도비(崔希亮 將軍 神道碑) 전라남도 기념물 제53호. 전남 나주시 다시면 가흥리 369번지.   최희량 장군 신도비 안내문.  신도비(神道碑)란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가까이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인 최희량 장군을 기리고 있다.  최희량(1560∼1651)은 35세 되던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흥양현감으로서 이순신 장군의 지휘 아래 큰공을 세웠으며, 적의 포로로 있던 신덕희 외 700여 명이 살아서 돌아올 수 있게 하였다.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이 전사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가 조용히 지내다 효종 2년(1651)에 생애를 마쳤다.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돌을 올..

문화재 탐방 2015.05.06

전남 영암. 김완장군 묘소 및 신도비

김완장군 묘소 전경. 전라남도 기념물 제40호.  전남 영암군 시종면 만수리 386-2번지.  조선시대(朝鮮時代) 명장(名將)인 양무공(襄武公) 김완(1577∼1635) 장군은 영암군(靈巖郡) 서호면(西湖面) 구음평(九音坪)(지금의 몽해(夢海))에서 태어나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라도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이복남(李福男) 장군 휘하에서 용맹을 떨쳤고, 그 후 광해군(光海君) 7년(1615) 과거에 급제하여 고산진절제사(高山鎭節制使)를 거쳐 창성방어사(昌城防禦使)로 있을 때 이괄(李适)의 난(亂)이 일어나자 이를 평정(平定)하는데 큰공을 세웠다.  장군은 그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 3등(三等)으로 학성군(鶴城君)에 봉(封)해졌으며 뒤에 황해도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를 거쳐 사후(死後)에 병..

문화재 탐방 2015.02.16

전남 영광. 내산서원(內山書院)

수은(睡隱) 강항(姜沆)선생  동상. 내산서원(內山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28호. 전남 영광군 불갑면 쌍운리 22-2번지.  내산서원은 조선 중기 문신인 강항(姜沆:1567∼1618)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강항(姜沆)선생은 공조좌랑과 형조좌랑에 있던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활동하다가 왜적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되었다. 일본에 있으면서 그 나라의 역사, 지리 등을 알아내어 고국으로 보내기도 하면서 일본에는 성리학을 전하였다. 선조 33년(1600) 귀국한 후 벼슬을 사양하고 독서와 후진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이 서원은 인조 13년(1635)에 나라에서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을 내려주었고 숙종 28년(1702)에 고쳐 세웠다. 일제시대 때에도 고쳐지었는데 그 뒤로도 여러 차..

문화재 탐방 201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