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말주 5

전남 나주. 쌍계정(雙溪亭). 전남 유형문화재 제34호.

나주. 쌍계정(雙溪亭)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호. (1973.04.21) *소재지: 전남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251. 쌍계정(雙溪亭)은 1280년에 고려 충렬왕(재위 1274∼1308) 때 전고(典故)에 밝아 세자이사(世子貳師)와 세자사(世子師) 등을 역임하였던, 문정공(文靖公) 정가신(鄭可臣,?~1298)이 당시 호남의 현사(賢士)로 알려진 문숙공(文肅公) 전주정(全周鼎), 문현공(文顯公) 윤보(尹珤) 세 사람이 함께 지어 강학처(講學處)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이로 인하여 삼현당(三賢堂)이라고도 불렀으며, 그후 조선 세조 때부터 선조 때까지 정서(鄭鋤), 신숙주(申叔舟), 신말주(申末舟), 죽오당(竹梧當), 김건(金鍵), 홍천경(洪千璟) 등, 당시 대표적인 학자들의 학문 연구 장소로도 이용되었고, ..

문화재 탐방 2023.09.04

전북 순창. 전북지정 문화재자료 제67호. 귀래정(歸來亭)

귀래정(歸來亭) 전북지정 문화재자료 제67호. (1984년 04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북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538-1 (연락처: 063-653-3498) 순창읍에서 88고속도로의 진입로를 따라 약 1km쯤 가다보면 남산대 산 위에 위치해 있다. 원래의 귀래정은 1457년(세조2년)에 신말주에 의해 세워졌다고 하는데, 현재의 건물은 1974년 다시 세워진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건물의 관리는 고령신씨 중종(高靈申氏 宗中)에서 하고 있다. 신말주는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아우이기도 하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특출하고 학문을 즐겨 1451년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454년에는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 영전을 거듭했는데 그 무렵 세조가 그의 조카인 단종을 ..

문화재 탐방 2022.07.21

전북 순창. 설씨부인. 신경준선생 유지

설씨부인 · 신경준선생 유지. 전라북도 지정 기념물 제86호. (1994년 08월 10일. 지정) *소재지: 전북 순창군 순창읍 남산길 32-3. (연락처: 063-653-3498) 이곳은 귀래정 신말주(歸來亭 申末舟, 1429~1503)선생의 부인인 정부인 설씨(貞夫人 薛氏, 1429~1509)와 신말주의 11代孫인 여암 신경준(旅菴 申景濬, 1712~1781)선생의 출생지이다. 신말주는 보한재 신숙주(保閑齋 申叔舟, 1417~1475)선생의 아우로서 전주부윤, 전라도 수군절도사, 대사간 등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 하였으나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자, 절개를 지키기 위해 벼슬을 사직하고 정부인 설씨의 고향인 순창의 남산대로 낙향하여 자신의 호를 딴 귀래정을 짓고, 자연을 벗 삼으며 여생을..

문화재 탐방 2022.07.18

전남 나주. 쌍계정(雙溪亭)

나주. 쌍계정(雙溪亭)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호. (1973.04.21) 다녀온 날: 2020년 4월 18일. 전남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251. 쌍계정(雙溪亭)은 1280년에 고려 충렬왕(재위 1274∼1308) 때 전고(典故)에 밝아 세자이사(世子貳師)와 세자사(世子師) 등을 역임하였던, 문정공(文靖公) 정가신(鄭可臣,?~1298)이 당시 호남의 현사(賢士)로 알려진 문숙공(文肅公) 전주정(全周鼎), 문현공(文顯公) 윤보(尹珤) 세 사람이 함께 지어 강학처(講學處)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이로 인하여 삼현당(三賢堂)이라고도 불렀으며, 그후 조선 세조 때부터 선조 때까지 정서(鄭鋤), 신숙주(申叔舟), 신말주(申末舟), 죽오당(竹梧當), 김건(金鍵), 홍천경(洪千璟) 등, 당시 대표적인 학자들의 학문 ..

문화재 탐방 2020.05.29

전북 고창. 덕천사(德川祠)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2호

덕천사 입구 홍살문. 홍살문 옆에 덕천사 표석비와 옥천조씨 세천비가 세워져 있다.   전북 고창군 아산면 용계리 441  (인천강변로 308)     덕천사 안내문.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2호로 지정되었다.   덕천사는 1818년(순조 18)에 창건하였는데 처음에는 단종 폐위 후 고향에 돌아와 은거하던  조덕린의 증조(曾祖) 조윤옥(趙潤屋), 신말주(申末舟), 장조평(張肇平) 등 3현을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복설하면서 이윤철(李允哲), 안정(安正) 김부(金傅), 한승유(韓承愈), 설산옥(薛山玉), 설존의(薛存義),  오유경(吳惟敬) 등의 위패를 모시고 옥천조씨 중추공파 종중에서 음력 9월 8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조윤옥(1430~?)은 조선 전기 단종에 대해 절의를..

문화재 탐방 201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