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 6

전남 진도. 쌍계사(雙溪寺) 전남 유형문화재 제121호.

진도 첨찰산 쌍계사 일주문. 쌍계사는 경남 하동의 쌍계사가 유명한데 전남 진도에도 천년 고찰 쌍계사가 운림산방 옆에 자리하고 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 (1985.02.25) *소재지: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299-30 (의신면) 진도 첨찰산(尖察山) 기슭에 자리한 쌍계사(雙溪寺)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本寺) 대흥사의 말사(末寺)로서 857년(신라 문성왕 19)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였다. 절집 양옆으로 시냇물이 흘러 쌍계사라 불렀다고 하며, 1648년(조선 인조 26) 의웅(義雄)이 중건하였다. 1677년(숙종 23) 대웅전을 세웠으며, 1695년에는 시왕전(十王殿)을 중건했다. 1880년 의 저자인 각안(覺岸: 1820∼1896)이 머물며 동산(東山). 지..

한국의 사찰 2024.09.27

전남 진도. 쌍계사(雙溪寺) 전남 유형문화재 제121호.

진도, 첨찰산 쌍계사 일주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 (1985.02.25)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76 (운림산방로 299-30) 진도 첨찰산(尖察山) 기슭에 자리한 쌍계사(雙溪寺)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本寺) 대흥사의 말사(末寺)로서 857년(신라 문성왕 19)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였다. 절집 양옆으로 시냇물이 흘러 쌍계사라 불렀다고 하며, 1648년(조선 인조 26) 의웅(義雄)이 중건하였다. 1677년(숙종 23) 대웅전을 세웠으며, 1695년에는 시왕전(十王殿)을 중건했다. 1880년 의 저자인 각안(覺岸: 1820∼1896)이 머물며 동산(東山). 지순(知淳)과 함께 대법당과 시왕전. 첨성각을 중수했으며, 이후 1980년 도훈(道薰)이 해탈문(解脫..

한국의 사찰 2021.11.29

전남 나주. 만봉리 석조여래입상 (전남 유형문화재 제64호)

나주. 만봉리 석조여래입상(羅州. 萬峰里 石造如來立像) 전남 유형문화재 제64호. (1976.09.30. 지정) *만봉리 석조여래입상을 필자가 처음 찾았을 때는 2017년 1월이었는데, 그때는 전각이 마련되어있지 않고 난장에 방치되다 싶이 봉안되었었는데 이번에 다시 찾았을 때는 전각을 마련하여 봉안해두어 보는 이로 하여금 기분이 좋았다. *주소: 전남 나주시 봉황면 덕룡로 180-48 (만봉리 414-8) 나주 만봉리 석조여래입상은 하나의 화강암을 끝이 뾰족하게 다듬어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를 만들고, 그 위에 여래입상을 돋을새김한 것이다. 둥근 얼굴에 살짝 감은 눈, 잔잔한 미소를 띤 입, 길게 늘어진 귀에서 원만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옷은 양어깨에 걸쳐서 입고 있는데, U자..

한국의 사찰 2021.06.30

전남 진도. 운림산방(雲林山房) 명승 제80호

운림산방 안내판. 명승 제80호 (2011. 8. 8) 전남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315.   전통남화의 성지라 할 수 있는 운림산방은 조선조 남화의 대가인 소치(小痴) 허유(維)가 말년에 거처하던 화실의 당호로 일명 '운림각'이라고도 한다.  1981.10.29. ~ 2011. 8. 7. 전라남도 지정기념물 제51호.2011. 8. 8. 국가지정명승 제80호 지정. 이곳에서 소치(小痴)는 미산(米山) 허형을 낳았고 미산이 이곳에서 그림을 그렸으며 의재 허백련이 미산에게 처음으로 그림을 익힌 곳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유서 깊은 운림산방은 소치(小痴) - 미산(米山) - 남농(南農) - 임전(林田) 등 5대에 걸쳐 전통 남화를 이어준 한국 남화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전통남화의 성지라 할 수 있는 운..

문화재 탐방 2016.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