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채 24

전남 화순. 화가, 오지호 생가(吳之湖 生家)

오지호 생가.吳之湖 生家.  등록문화재 제274호.(2006.09.19)  *주소: 전남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277-1번지.    1800년대에 건립된 이 건물은 한국 근대 서양 화단의 거목이자 한국적 인상주의 화풍의 개척자인 오지호(1905~1982) 생가로, 이 지역의 일반적인 민가 구조인 ‘一’자형으로 되어 있다.  정면 7간으로 이루어진 사랑채와 안채가 앞뒤로 자리 잡고 있으며, 화실의 반은 마루 구조로 되어 있고 반은 온돌 구조로 되어 있다.  오지호가 어린 시절을 보냈고 일본 유학 후 한동안 기거하면서 작품 활동을 했던 곳이다.   오지호 생가 안내문.   화가 오지호 표석.   민가 구조인 ‘一’자형의 사랑채.   민가 구조인 ‘一’자형의 안채.   뒷편에서 본 사랑채.   안채 마루.  ..

문화재 탐방 2025.03.17

전남 함평. 석정 안후덕 선생 생가(石汀 安厚德 先生 生家)

석정 안후덕 선생 생가.(石汀 安厚德 先生 生家)  *주소: 전남 함평군 월야면 예동길 103-26.     석정 안후덕 선생(본관 죽산)은 함평군 월야면 예덕리 예동 마을에서 출생(1905. 11. 11)하여 휘문중학교 수학 중 일강 김철 선생을 만나 임시정부운영자금을 내고 백범 김구 선생 애국단에 가입(19세), 활동 중 군자금 모집 사명을 띄고 일시 귀국하여, 전 재산을 저당하고 당시 거금 45,000원을 임시정부 운영자금으로 헌납(21세), 중국 본부 한인청년동맹에 가입, 상해총회에서 상해지부위원장 선출, 항일격문 상해 시내에 살포,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 중 다시 독립자금을 모금하기 위해 귀국 중 체포되어 징역 5년을 선도 받고 복역, 출옥 후 42세의 짧은 생을 마칠 때까지 조국의 독립을 위해 ..

발길을 따라 2024.05.31

전남 장흥. 장흥위씨. 신와고택(新窩古宅) 중요민속문화재 제269호.

신와고택(新窩古宅) 구, 위봉환 가옥. 중요민속문화재 제269호. (2012. 04. 13) *주소: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길 111-17 (방촌리 461) 신와고택(神窩古宅)은 장흥위씨 훈도공파(訓導公派) 지장손 집으로 신와(新窩) 위준식(魏準植, 1870~1947)이 옛집을 고쳐 지금의 형태를 갖추었다.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사람은 위준식의 할아버지 위영형(魏榮馨, 1808~1855)이며, 고택은 안채, 사랑채, 사당, 곳간채, 헛간채, 문간채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건물의 정면은 서향이다. 이 고택의 대표적인 건물인 안채는 1925년경에 지어졌다. 앞과 왼쪽에 툇마루를 둔 6칸 규모의 큰집이다. 대가족이 생활하기 알맞은 구조로 당시 가족규모와 경제력을 짐작케 한다. 안채와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사..

문화재 탐방 2023.11.20

전남 장흥. 장흥위씨. 죽헌고택(竹軒古宅) 전남 민속문화재 제6호.

죽헌고택(竹軒古宅) *구, 위성룡 가옥. 전남 민속문화재 제6호. (1986년 2월 7일) *주소: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길 101 (방촌리 477) 장흥 죽헌고택 안내판. 장흥 죽헌고택(竹軒古宅)은 관산읍 방촌마을 중심에 위치한 장흥위씨 청계공파 지장손 집이다. 1986년 2월 7일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 죽헌고택(竹軒古宅)은 위계창(1861~1943)이 살았던 집으로 죽헌은 그의 호이다. 과거에는 장흥 위성룡 가옥으로 불리다가 현재에는 "장흥 죽헌고택"으로 불리고 있다. 위계창은 파조 청계 위덕의의 10대손으로 위덕의는 선조 6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장흥에서 의주까지 90일간 걸어서 피난 중인 선조를 알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남도지역의 전형적인 양반가의 주택으..

문화재 탐방 2023.11.17

전남 보성. '태백산맥' 현부자네 집

현부자네 집 전경. *주소: 전남 보성군 벌교읍 회정리 357-2번지. 조정래 태백산맥 문학관 바로 옆에 위치한 현부자네 집으로 '태백산맥' 소설에도 등장하는 아름다운 고택으로 일제강점기에 지은 건물이며 박씨 문중의 소유이다. 중도 들녘이 질펀하게 내려다보이는 제석산 자락에 우뚝 세워진 이 집과 제각은 본래 박씨 문중의 소유로써 이 집의 대문과 안채를 보면 한옥을 기본 틀로 삼았으되 곳곳에 일본식을 가미한 색다른 양식의 건물로, 한 시대를 반영하고 있는 꽤 흥미로운 건물이라 할 수 있다. 소설에서는 현부자네 집으로 묘사되었다. 「그 자리는 더 이를 데 없는 명당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는데, 풍수를 전혀 모르는 눈으로 보더라도 그 땅은 참으로 희한하게 생긴 터였다......(태백산맥 1권 14쪽)」 소설 「..

발길을 따라 2022.10.24

전북 고창. 김정회 고가(金正會 古家)

김정회 고가 입구.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29호. *소재지: 전북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 151 (도산1길 16) 김정회 고가 표지석과 안내문. 김정회 고가 안내문.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29호. 일제강점기의 대학자이자 서예가인 보정(普亭, 또는 淵淵堂) 김정회(金正會, 1903∼1970)가 살던 옛 집이다. 1862년(철종 13)경에 지어 그의 고조부 때부터 살아온 집이라 한다. 조선 후기에 지은 전형적인 상류계층의 가옥이다. 안채·사랑채·행랑채·사당 및 2채의 곳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가 있고 사랑채 동측에 행랑이 있다. 사랑 뒤에는 안채가 1m 정도의 높은 기단 위에 위치하며 마당 양측에는 2채의 곳간이 마주하고 있다. 안채는 정면 7칸의 규모이다. 정면에서 보면 왼쪽부터 건넌방과 ..

문화재 탐방 2022.05.13

전남 영암. 현종식 가옥(지방민속문화재 제14호)

영암. 현종식 가옥(靈岩. 玄宗植 家屋) 지정번호: 지방민속문화재 제14호. 지정일: 1986년 2월 7일. *소재지: 전남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117-3 (학계길 67) 현종식 가옥은 근대기 호남 지역의 최대 부호였던 현준호(1889~1950)의 부친 현기봉(玄基奉)이 지었다. 현준호는 몇몇 지역 유지와 함께 1920년에 순수 민족 자본으로 호남은행을 설립하였고, 그의 부친도 목포 창고 금융회사를 설립한 전라남도의 대표적 기업가였다. 현종식 가옥은 한옥 기와집으로, 안사랑채는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으로, 왼쪽부터 부엌·큰방·가운데방·대청을 배치하였다. 대청에는 누마루가 있으며 이와 나란히 뒤쪽에 사랑방이 있다. 안채는 앞면 6칸·옆면 4칸 규모이며 H자형으로 지었다. 사랑채와 ..

문화재 탐방 202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