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문학관 <김우진 관1> 수산 김우진. 김우진(金祐鎭, 1897년~1926년) 아호 水山. 한국 극예술의 선구자. 출생지: 전남 장성(11세 목포로 이주) 대표작: <산돼지> <이영녀> <난파> <정오> 등. 김우진은 전남 장성에서 당시 군수였던 김성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7년 목포시 북교동 46번지로 이주하여 목포공립보통.. 목포 문예계 2009.11.19
[동영상] 목포 문학관 <박화성 관> 목포 문학관 <박화성 관>에서 유물전시실과 집필실을 녹화한 것입니다. 미흡한 부분이 많으나 즐감하시기 바랍니다. 글, 그림 / 이태원 사랑방. 목포 문예계 2009.11.17
남농기념관(南農記念館)에서 남농기념관 안내판. 남농기념관은 전라남도 목포시 용해동 9-36번지, 갓바위 해양관광지(문화의 거리)에 위치한 박물관으로서 대한민국 南宗畵의 大家이자, 진도 운림산방의 3代 주인이었던 남농 허건(1907년 ~ 1987년)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기념관이다. 先代의 유물을 보존하고 우리 전통.. 목포 문예계 2009.11.16
목포 문학관 <박화성관 5> 소영 박화성 像. 생애와 문학실. 생애와 문학 (좌측 부분) 생애와 문학 (우측 부분) 광주 사립여자야학교 교사 시절(1922년 19세 때) 어머니 김운선 여사와 함께 (1925년 22세 때) 목포 정명여학교 전교생. 앞줄 오른쪽 첫번째 다섯살 쯤의 박화성(1907년 무렵) 조 운을 만나 문학 수업을 하던 영광읍 교촌리 영.. 목포 문예계 2009.11.14
목포 문학관 <박화성관 4> 소영 박화성. 생활 유품 전시실. 생활 유품실에서 가장 눈길을 머물게 했던 곳은 아들 승산이 인민군에 끌어가며 벗어두고 간 아들 내의와 넥타이를 평생 간직하며 당신이 가실 때 같이 무덤으로 가자는 가슴 아프고 한이 서린 부분을 친필로 메모해둔 대목이었다. 평소 즐겨입던 한복. 신발과 양산 등.. 목포 문예계 2009.11.13
목포 문학관 <박화성관 3> 박화성 像. 집필하는 박화성. 개화기에 목포에서 태어난 한국 문학의 선구자 素影 박화성 선생은 개척자의 생애가 그러하듯, 외롭고 어려운 속에서도 끊임없는 도전과 정진으로 우리 문학사에 우뚝 선 선구자요, 선각자였다. 남성위주의 사회에서 여성으로 15세에 소학교 선생으로 교단에 선 것을 비.. 목포 문예계 2009.11.12
목포 문학관 <박화성관 2> 박화성 像. 박화성 활동 및 약력. 활동 및 약력 1904. 4월 16일(음) 박운서와 김운선의 막내딸로 목포에서 출생. 1915. 목포 정명여학교 고등과 졸업. 1918. 숙명여고보 졸업, 천안과 아산의 보통학교에서 교편 잡음. 1922. 영광중학교 교사로 부임. 조운(曺雲) 등 文友들과 문학수업. 1925. 단편 <추석전야>가.. 목포 문예계 2009.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