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장군 동상.
진도 이충무공 승전공원.
전남 진도군 군내면 진도대로 8439-19.
진도 이충무공 승전공원은 지난 2010년 5월에 다녀갔으나 그때는 웹벗님들과 동행하여 진도를 일주하며 잠시 스쳐 지나갔을 뿐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혼자서 차분하게 둘러보기 위해 추석 명절 하루 전날 이곳에 들렸다. 집에서 나서기를 12시 가까히 출발하여 우수영을 재차 잠시 들려서 이곳에 도착했더니 오후 3시가 넘어서인지 촬영을 하는데 자주 역광이 되어서 여간 곤란했다. 특히 이순신 동상을 찍는데 그러했다.
그러나 즐거운 마음으로 이곳 저곳 둘러보니 우수영 쪽의 명량대첩 기념공원보다는 다소 약한 면이 있으나 역사적인 면에서는 그런대로 둘러 볼만했다.
특히 십경도가 눈에 들어온다. 물론 이 십경도가 인터넷상에서 이미 본게 있었으나 실제로 보기는 처음이라서 신선했다. 그런데 날씨가 해무로 흐려서 사진의 선명도가 떨어져 멀리 있는 물체는 흐릿하여 아쉬운 마음에 다음에 날씨가 맑고 쾌청한 날 다시 들려볼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오늘은 오늘대로 만족하기로 했다.
포효하는 이순신 장군.
우수영쪽에 세워진 '고뇌하는 이순신 장군'과는 아주 대조적인 동상이다.
이충무공 승전공원 안내판.
녹진 이충무공 동상 건립문.
이충무공 승전공원 상징 조형물.
조형물에 명량해전을 뜻하는 해전상이 새겨져 있다.
수변공원.
수변공연장.
수변공원에서 바라본 진도대교.
진도대교 아래 명량 회오리바다 물살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운집해있으나 해무가 끼어 잘 보이지않아 아쉽다.
진도 녹진에서 바라본 우수영 모습.
녹진 해변에서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들.
십경도 안내문.
십경도 중 제1경 소년시절.
제1경 소년시절.
제2경 청년시절.
제2경 청년시절.
제3경 녹둔도 싸움.
제3경 녹둔도 싸움.
제4경 전라좌수사 시절.
제4경 전라좌수사 시절.
제5경 부산해전.
제5경 부산해전.
제6경 한산도 생활.
제6경 한산도 생활.
제7경 충효의 본보기.
제7경 충효의 본보기.
제8경 억울한 누명을 쓴 이순신.
제8경 억울한 누명을 쓴 이순신.
제9경 명량해전.
제9경 명량해전.
제10경 충무공 최후 노량해전.
제10경 충무공 최후 노량해전.
이후에도 이충무공의 유적과 유물에 대한 기록을 발견하는대로 이 블로그를 통하여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많은 격려와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탐방: 2014년 9월 7일.
'이순신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장흥. 반계사(盤谿祠) (1) | 2014.09.18 |
---|---|
전남 함평. 월산사(月山祠) (1) | 2014.09.13 |
전남 해남. 우수영 유물전시관. (0) | 2014.08.23 |
전남 해남. 명량대첩 기념공원. (0) | 2014.08.22 |
전남 해남. 전라우수영성지. (0) | 201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