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탄3용사' 故 안영권 하사 전공기념비.
*주소: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125-1 (금산사 입구)
한국전쟁 때 적진에서 산화한 故 안영권 하사의 전공기념비와 흉상이 고향인 전북 김제 금산사 입구에 세워졌다.
김제 금산면 출신인 안영권 하사는 1952년 10월 12일 백마고지전투에서 TNT, 수류탄, 박격포탄을 몸에 묶고 적진에 뛰어들어 산화한 <육탄3용사> 중 한 명이다.
한국전쟁 최대 격전 중 하나인 이 전투에서 육탄 돌격을 결행한 3용사는 오늘날 '백마3군신'으로 불리고 있다.
김제시 재향군인회는 매년 10월 12일에는 안영권 하사 전공기념비 앞에서 산화추모행사를 거행하고 있다.
육탄3용사 고 안영권 하사 전공기념비 안내문.
명예도로 '안영권로' 표지석.
이 달의 6.25 전쟁영웅.
을지무공훈장 안영권
(1925.11.10~1952.10,12)
2011년 10월 1일.
국가보훈처장 박승훈.
백마고지 3용사 찬.
육탄3용사 고 안영권 하사 전공기념비.
육탄3용사 고 안영권 하사 전공기념비.
최근 대한민국 재향군인회에서 설치한 안영권 하사 흉상.
육탄3용사의 안내문.
육탄3용사의 모습.
최근에 제작된 안영권 하사 흉상.
*아래는 애국지사 정화암 선생 사적비 내용입니다.
애국지사 정화암 선생 사적비.
*본 사적비는 안영권 전공기념비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다.
정화암(1896.9.14~1981.10.21)
정화암 선생의 본명은 정현섭으로 자는 윤옥, 호는 화암으로 전북 김제 출신이다.
독립운동가로 3.1운동 이후 독립운동에 뜻을 두어 미국 의원단의 한국 방문 때 일본의 침략상을 폭로하는 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곤욕을 치렀다.
사회대중당 지도위원, 통사당 최고위원, 민주통일당 최고위원 등을 역임했다.
(네이버의 두산백과 중에서)
애국지사 정화암 선생 사적비.
애국지사 정화암 선생 사적비 안내문.
*다녀온 날: 2022년 12월 11일.
백산블로그
'발길을 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순창. 가인 김병로 선생 생가터(佳人 金炳魯 先生 生家址) (148) | 2023.01.06 |
---|---|
전북 김제. 증산법종교(甑山法宗敎) 본부. (156) | 2022.12.30 |
전북 고창. 전주최씨. 삼강문(三綱門) (109) | 2022.12.05 |
전북 고창. 고흥유씨. 망향정(望鄕亭) (133) | 2022.12.02 |
전북 고창. 문화류씨 정려(文化柳氏 旌閭) (108)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