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사(寧國寺)와 출렁다리.
충북 영동에 자리한 천태산 영국사를 올라가다 보면 누교리라는 마을이 나온다.
다락(樓)'루' 다리(橋)'교'자 이름을 붙인 이 마을은 고려 말 피난길에 오른 공민왕이 나라의 안녕을 빌기 위해 영국사(寧國寺)로 가던 중 개울을 건널 다리가 마땅치 않자 신하들이 칡덩굴로 선반 같은 다리를 만들었다는데서 유래됐다고 한다.
공민왕 10년(1361)에 홍건적이 고려를 침입하자 공민왕은 노국공주를 비롯하여 신하들과 남쪽으로 피난을 하게 됐다.
발길을 재촉하던 왕의 행차는 영동 쪽으로 이어지는 큰길에서 가까운 마니산(강화도가 아닌 영동에도 있는 산) 산성에 잠시 머물기로 했는데, 전황을 들으니 홍건적의 기세가 강성해져 관군이 연전연패하고 그들의 손에 죽어가는 백성이 부지기수라는 것이었다.
공민왕은 적군의 수중에서 욕을 당할 백성들 생각에 참담한 심정을 가누기가 어려웠다. 이때 한 신하가 '가까운 곳에 고찰이 있으니 그곳에 가서 부처님께 국운을 빌어보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며 '그 절은 옛날 대각국사 의천이라는 분이 주지로 있으면서 천태종을 일으킨 본거지'라고 자세히 아뢰었다.
멀리까지 피난을 와서 위안이 될 만한 일이 없던 왕은 절을 찾기로 하고, 성이 있는 험한 산을 내려와 고개 밑 마을에 이르렀다.
그러나 절 쪽으로 가자면 작은 냇가를 건너야 하는데 간밤에 내린 빗물로 골짜기 개울이 크게 불어 도저히 그냥은 건널 수가 없었다. 궁리 끝에 신하들은 칡덩굴을 끊어다가 개울 양쪽에 기둥을 두 개씩 세우고 출렁다리를 가설하면 되겠다는 묘안을 냈다.
인근 백성과 신하들이 협력하여 마침내 칡으로 얽어 만든 다리가 완성되었고, 이 선반처럼 임시방편으로 만든 다리, 즉 누다리를 건너 왕은 무사히 개울을 건너 절에 도착, 나라의 안녕을 빌었다.
이 일로 하여 이 마을 이름이 '누다리'라고 불리게 되었고 그때까지 국청사(國淸寺)였던 고찰은 왕이 나라의 안녕을 기원한 절이라 하여 영국사(寧國寺)로 바꿔 부르게 됐다고 한다.
- 웹사이트 -
@필독 사항@
'백산' 닉네임이 기재되지 않고 올려진 댓글은
주인없는 광고 전단지로 단정하고 삭제하겠으니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
'전설과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랑사와 아비사의 슬픈 사랑이야기. (56) | 2025.03.22 |
---|---|
다자구야 들자구야. (41) | 2025.03.15 |
마의태자(麻衣太子)의 전설 (52) | 2025.03.08 |
봉선화(鳳仙花)의 전설. (56) | 2025.03.01 |
백일홍(百日紅)의 전설. (61)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