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권유익(開卷有益) 개권유익(開卷有益) 의미.책을 펼치면 반드시 이로움이 있다는 뜻으로, 독서는 언제나 유익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한자 음開 열 개卷 책 권有 있을 유益 더할 익 책을 열면 이로움이 있다. 현대적 해석.독서는 언제나 새로운 지식을 얻게 해주는 유익한 행위임을 말하며, 책을 읽는 것이 인생에 있어 얼마나 큰 자산이 되는지를 상기시킵니다. - 고사성어 - *건강검진 다녀오겠습니다. ^^* 고사성어 편 2025.01.09
한우충동(汗牛充棟) 한우충동(汗牛充棟) 의미.책(冊)을 수레에 실으면 소(牛)가 땀을 흘리고, 집에 쌓으면 지붕까지 닿는다는 뜻으로, 매우 많은 책을 소유하고 있음을 비유합니다. 한자 음.汗 땀 한牛 소 우充 채울 충棟 마룻대 동 소(牛)가 땀을 흘릴 정도로 많고, 대들보까지 차오르는 책의 양(量) 현대적 해석.방대한 양의 지식과 책을 소유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풍부한 지식을 쌓기 위해 많은 독서가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오늘날에도 학문과 정보를 축적하는 것이 중요함을 상기시킵니다. - 고사성어 - 고사성어 편 2025.01.02
독서삼도(讀書三到) 독서삼도(讀書三到) 독서를 할 때는 3가지 경지를 갖춰야 한다는 뜻으로, 입으로 읽고(口到), 눈으로 보고(眼到), 마음으로 느끼는(心到)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한자 음讀: 읽을 독書: 글 서三: 석 삼到: 이를 도. 책을 읽는 3가지 방법에 이르다. 현대적 해석.독서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이 사자성어는 단순히 책을 읽는 것뿐만 아니라, 그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마음으로 새기며 학습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고사성어 - 고사성어 편 2024.12.25
주경야독(晝耕夜讀)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농사일을 하고 밤에는 공부를 한다는 뜻으로, 힘든 환경 속에서도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는 자세를 상징합니다. 한자 음晝 낮 주耕 밭 갈 경夜 밤 야讀 읽을 독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는다. 현대적 해석.바쁜 일상 속에서도 틈틈이 시간을 내어 학문에 전념하는 노력의 상징입니다. 직업과 학문을 병행하며 꾸준히 자기계발을 이루려는 현대인의 모습과 일맥상통합니다. - 고사성어 - 고사성어 편 2024.12.19
가훈에 쓰기 좋은 고사성어 모음 (完) 가훈에 쓰기 좋은 고사성어 모음 (完) * 大器晩成(대기만성) - 큰일이나 큰 인물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고의 노력 끝에 이루어진다. * 道不遠人(도불원인) - 도(道)는 사람의 본성일 뿐 먼 곳에 있지 않다. * 同心協力(동심협력) - 마음을 합하여 힘을 하나로 하여라. * 讀書百遍義自見(독서백편의자현) - 책을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 읽으면 뜻은 저절로 알게 된다. * 大志遠望(대지원망) - 뜻은 크게 가지고 희망은 원대하게 다스려라. * 鵬夢蟻生(붕몽의생) - 꿈과 희망은 원대하게 갖고 생활은 개미처럼 하라. * 明哲保身(명철보신) - 이치에 밝고 사리를 분명히 하여 매사에 법도를 지켜 처신한다. * 無愧我心(무괴아심) -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여라. * 無汗不成(무한불성) - .. 고사성어 편 2024.12.12
가훈에 쓰기 좋은 고사성어 모음 (2) 가훈에 쓰기 좋은 고사성어 모음 (2) * 君家受福(군가수복) - 어진 행실은 행복한 가정을 이룬다. * 開卷有益(개권유익) - 책을 펼치면 유익함이 있다. * 勤儉和順(근검화순) - 부지런하고 검소함은 집을 다스리는 근본이고 온화하고 유순함은 집을 가지런하게 하는 근본이다. * 氣山心海(기산심해) - 기운은 산과 같고 마음은 넓은 바다와 같아야 한다. * 佳氣滿高堂(가기만고당) - 상서로운 기운이 실내에 가득하다. * 老馬之智(노마지지) - 늙은 말에게도 지혜가 있다는 말로 비록 하찮은 것일지라도 장점이 있다는 뜻. * 露積成海(노적성해) - 한 방울의 물이 모여서 바다를 이룬다. * 訥言敏行(눌언민행) - 말은 조심하고 행동은 바르게 하는 것. * 多情佛心(다정불심) - 다정다감한 마음은 곧 .. 고사성어 편 2024.12.05
가훈에 쓰기 좋은 고사성어 모음 (1) 가훈에 쓰기 좋은 고사성어 모음 (1) *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 가정이 화목하면 무엇이든지 잘 되어나간다. * 苦盡甘來(고진감래) -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 * 公平無私(공평무사) -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 克己復禮(극기복례) - 욕망을 억제하여 바른 행동을 한다. * 公生明 (공생명) - 공평하면 판단을 그르치지 않는다. * 見仁見智(견인견지) - 사람은 보는 것에 따라 생각을 달리한다. * 結者解之(결자해지) - 자기가 저지른 일은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 結草報恩(결초보은) - 죽어서도 잊지 않고 은혜를 갚는다. * 敎學相長(교학상장) - 가르침이나 배움이 나에게는 모두 도움이 된다. * 騎虎之勢(기호지세) - 호랑이 등에 타고 가다가 내리게 되면 잡혀 먹힌다는 뜻. .. 고사성어 편 2024.11.28
등화가친(燈火可親) 등화가친(燈火可親) 등불을 가까이할 만하다는 뜻으로, 특히 가을밤이 서늘해지면 등불을 밝히고 독서하기에 좋은 시기라는 의미입니다. 한자 음燈 등 등火 불 화可 옳을 가親 친할 친 현대적 해석.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는 말을 표현한 고전적인 사자성어로, 학문에 집중하기 좋은 환경을 의미합니다. 이는 현대에도 학습과 독서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 고사성어 - @필독 사항@*상기 본문과 관련 없는 “단순 인사성 비밀댓글”은차단 및 삭제하겠습니다.* 고사성어 편 2024.11.21
인과응보(因果應報) 인과응보(因果應報) “원인에 따라 결과가 있으니 응당 그 보답을 받는다.”는 뜻의 고사성어. 어떤 일이 있으면 그에 해당하는 과보(果報)를 받게 된다는 말이다.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 인연에 따라서 훗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이다. 그래서 좋은 일에는 좋은 결과가 따르고, 나쁜 일에는 나쁜 결과가 따른다는 선인선과 악인악과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일상 대화에서는 대체로 '과거에 나쁜 짓을 한 것 때문에 이제 그 나쁜 짓에 대한 벌을 받게 되었다'는 맥락에서 종종 사용된다. 본래 이 용어는 불교에서 유입된 불교 용어로서, 현장법사의 제자 혜립(慧立)이 쓴 현장법사의 일대기 『대자은사삼장법사전』에 처음 나온다. "바라건대 현묘한 도를 얘기함에 있어서, 원인에 따른 결과로 응당 보답됨을 묻습.. 고사성어 편 2024.11.14
가정맹호(苛政猛虎) 가정맹호(苛政猛虎) [출전] 예기(禮記)[문장] 포악한 정치.[해의] 정치인의 가렴주구(苛斂誅求)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는 뜻이다. 어느 날, 공자(孔子)가 수레를 타고 제자들과 태산(太山: 산동성山東省> 태안현泰安縣>에 있는 산. 공자는 산동성 제녕시濟寧市>이 곡부현曲阜縣> 출생이다. – 필자 주) 기슭을 지나가고 있었다. 그때 어디선가 여인의 애절한 울음소리가 들려 왔다. 공자(孔子) 일행이 발길을 멈추고 주위를 살펴보니 길가의 풀숲에 무덤 셋이 보였고, 여인이 바로 그 앞에서 울고 있었다. 공자는 자로(子路)에게 그 연유를 알아보라고 했다. 자로(子路)가 여인에게 다가가서 물었다.“부인, 어이 일로 그리 슬피 우십니까?” 여인은 깜짝 놀라 고개를 들더니 이렇게 대답했다. “여기는 아주 무서운.. 고사성어 편 202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