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765

전남 장성. 신평송씨. 관수정(觀水亭) 전남 문화재자료 제100호.

관수정(觀水亭)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00호.  *소재지: 전남 장성군 삼계면 천방길5 (내계리 610)   조선 중종 34년(1539)에 관수정 송흠(1459∼1547)이 지은 정자로, 관수정은 맑은 물을 보고 나쁜 마음을 씻는다는 뜻이다. 송흠은 효성이 지극하여 101세 된 노모를 봉양하기 위해 지방에서 외직을 맡아 효행으로 상을 받고, 효헌이란 시호를 받았다. 중종 33년(1538)에는 청백한 관리로 뽑히기도 했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오른쪽 2칸은 마루를 깔고 왼쪽 1칸은 방을 두었는데, 3면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열개문으로 하여 개방적인 면이 보인다. 좌우 옆면에는 낮은 평난간을 돌리고 뒷면은 벽으로 처리하..

문화재 탐방 2024.12.13

광주광역시 남구. 제봉 고경명 사우. 포충사(褒忠祠)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포충사(褒忠祠)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 포충사(褒忠祠)는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錦山)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高敬命, 1533~1592) · 종후(從厚, 1554~1593) · 인후(因厚, 1561~1592) 3부자와 유팽로(柳彭老, 1554~1592) · 안영(安瑛, 1564~1592)을 모신 곳이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장성의 필암서원과 함께 헐리지 않았던 전남지역 2대 서원 中 하나이다. 이 건물은 왜란 후 호남유생들이 충의로운 인물을 기리고자 세웠는데 1603년 고경명의 후손과 제자인 박지효(朴之孝) 등이 임금에게 청하여 '포충(褒忠)'이라는 이름을 받았다.1980년에 새로운 사당과 유물전시관(正氣館) · 내외삼문 · ..

문화재 탐방 2024.12.09

전남 장성. 의병장. 제봉 고경명 신도비. 전남 기념물 제241호.

제봉 고경명 신도비(霽峰 高敬命 神道碑) 전라남도 기념물 제241호.(2008년  9월 19일)  *소재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430-2.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錦山)전투에서 아들 고종후(高從厚, 1554~1593) · 고인후(高因厚, 1561~1592)와 함께 순절한 의병장으로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새겨놓은 묘지 입구의 신도비이다. 비석은 1800년대 초반에 세워졌으며, 거북이 모양의 좌대(座臺), 글이 새겨진 비신(碑身), 그리고 지붕 역할을 하는 가첨석(加첨石)으로 되어있으며 비문(碑文)은 윤근수가 지었고 비문의 글씨는 윤봉, 비문 위의 전서(篆書)는 윤헌이 썼다.   *의병장 고경명 선생. 본관: 장흥고씨.1533(광주 압보촌(鴨保..

문화재 탐방 2024.12.04

전남 장성. 행주기씨. 고산서원(高山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63호.

장성 고산서원(長城 高山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63호.(1982년 10월 15일) *지난 2016년 4월 17일에 들렸을 때는 보수공사 중으로 문이 잠겨있어 담장 밖에서 촬영해야 했으나 이번에는관리사께서 반갑게 맞아 주셨다.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 고산로 68 (진원리 257) 장성 고산서원(長城 高山書院)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1798∼1879) 선생이 조선(朝鮮) 고종(高宗) 15년(1878)에 정사(精舍)를 지어 담대헌(澹對軒)이라 이름하고 학문을 강론하던 곳인데 후손들이 1924년에 중건하여 1927년에 고산서원(高山書院)이라고 편액을 건 서원이다. 기정진 선생은 조선(朝鮮) 말기(末期) 성리학의 6대가(六大家)로 시호는 문간공(文簡公)으로, 사당에 주향(主享)되었으..

문화재 탐방 2024.12.02

전남 장성. 영천리 방울샘(鈴泉里 鈴泉) 전남 기념물 제186호.

장성 영천리 방울샘(長城 鈴泉里 鈴泉)  전라남도 기념물 제186호.(2001년 9월 27일)  *소재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1415-3.   방울샘은 봉황산과 제봉산 사이에 자리 잡은 오동촌(梧桐村) 입구에 있다. 이 샘은 물이 방울처럼 솟아올라 방울샘 또는 영천(鈴泉)이라고 부른다. 오동촌 마을의 공동우물인 이 샘은 500여 년 전 용이 승천한 늪이었다고 한다. 이 샘은 예로부터 영험이 있어 국가의 길흉대사가 있으면 예견하여 물빛이 변하는데, 붉은색으로 변하면 병화(兵禍)가 있고 검은색으로 변하면 질병이 많고 흰색으로 변하면 풍년이 든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동학농민운동과 6·25전쟁 등이 일어났을 때 샘물이 붉은색으로 변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 방울샘은 지층 구조상 지질습곡대에 의해..

문화재 탐방 2024.11.29

전남 장성. 진원박씨. 청계정(淸溪亭) 전남 문화유산자료 제97호.

장성, 청계정(淸溪亭)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97호.(1984년 2월 29일)   *소재지: 전남 장성군 진원면 산동길 86 (산동리 245-1)   청계정(淸溪亭)은 조선 명종 1년(1546)에 진원박씨 위남 公의 후손 청계(淸溪) 박원순(朴元恂, 1510~1560)이 지은 정자로, 오랜 세월이 흘러 낡은 것을 13대손인 박정현이 고쳐지었다. 박원순은 진원면 진원리 출신으로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1510∼1560)의 문인으로 진사시까지 합격한 도량이 넓고 항상 바른 길을 걷고자 하였던 선비였다.  그러나 당시의 나라 정세는 부정한 것이 득세하였던 터라, 기품 곧은 선생의 사상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러한 정세에 환멸을 느낀 선생은 과감히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정자(청계정)를 지어 은둔하..

문화재 탐방 2024.11.27

전남 장성. 양성이씨. 추원재(追遠齋) 전남 민속문화재 제50호.

장성 추원재(長城 追遠齋)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50호.(2019.12.26.) 관리자 : 양성이씨종중(상서공파십오세증종중)   *소재지 :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검정길 96-7 (행정리 334) 외 1필지   장성 추원재는 남면 행정리 마을 중심부에서 조금 떨어진 산기슭에 입지하고 있다.  추원재는 조선시대 장악원 첨정(掌樂院 僉正)을 지낸 이증(李增)의 재실 묘각(墓閣)으로 1800년대 초에 건립하였던 것을 옮겨 1894년 2월에 중건한 건물이다.  상량문에는“崇禎紀元後五回甲午二月二十二日巳時立柱二十五日上樑”이라는 기록이 있어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다.  1894년 현재의 위치에 자리잡은 추원재는 1900년대 격변의 역사를 거치면서 시대를 살아간 수많은 사람들의 발자취를 간직한 채 지금까지 건실한 ..

문화재 탐방 2024.11.25

전남 장성. 오산 창의사(鰲山 倡義祠) 전남 유형문화재 제120호.

장성 오산 창의사(長城 鰲山 倡義祠)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0호.(1985년 2월 25일) 장성 오산 창의사(長城 鰲山 倡義祠)는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에 있는 건축물이다.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20호로 지정되었다.오산 창의비와 동시에 제120호로 지정되었다.오산 창의비는 이곳에서 약 3km거리에 있다. *소재지: 전남 장성군 북이면 모현1길 70-7 (모현리 302-1) 「창의사(倡義祠)」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나라를 구하기 위해 당시 장성현 남문에서 3차례에 걸쳐 의병을 일으킨 72분 선열들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사당(祠堂)이다. 처음에는 1794년 장성군 북이면에 창의사를 세우고 오천 김경수(鰲川 金景壽, 1543~1621) 선생을 비롯해 17분을..

문화재 탐방 2024.11.22

전남 장성. 오산 창의비(鰲山 倡義碑) 전남 유형문화재 제120호.

장성 오산 창의비(長城 鰲山 倡義碑)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0호.(1985년 2월 25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사남북길 32 (사거리 714)   장성 오산 창의비(長城 鰲山 倡義碑)는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에 있는 비석이다.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20호로 지정되었다. ‘장성 오산 창의(長城 鰲山 倡義)’란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김경수, 김제민, 기효간, 윤진 등이 전라도 일대에서 의병을 모아, 당시 장성현감이었던 이귀의 협력을 얻어 남문에 의병청을 설치하고 의병활동을 펼친 것을 이른다.  김경수를 맹주로 삼고, 김제민을 의병장으로 두어 북(北)으로 진군하면서 왜적과 맞서 싸우며 큰 공을 세우는 등 많은 전과를 올리다 ..

문화재 탐방 2024.11.20

전남 장성. 삼일사(三一祠) 현충시설: 관리번호: 50-1-24.

삼일사(三一祠)SAM IL SHRINE  현충시설: 관리번호: 50-1-24.관리자: 신호섭(유족대표)  *소재지: 전남 장성군 북이면 모현1길 73 (모현리 387)   삼일사(三一祠)는 일제(日帝)침략에 대한 전남의 대표격인 항거(抗拒)로 평가하는 북이면 모현리 삼일운동의 거사를 일으켰던 류상설 외 12명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1989년 창건되었다. 1919년 3.1운동 후 만국강화회의에서 종속국가들이 민족자결 선언에 대한 영향으로 4월3일(음력 3월3일, 삼짇날) 아침에 마을 옆 촛대봉에 화전놀이를 빙자한 마을 주민 200여명이 집결하여 감격적인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였으나 당시 면장의 밀고로 주동자 3명이 체포되어 다음 말 4월4일 사거리(四街里) 장날을 기하여 전 주민과 장꾼들이 합세 독립기..

문화재 탐방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