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777

전남 화순. 하동정씨. 예산사(禮山祠)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44호.

예산사(禮山祠)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44호.(2010.01.07)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월리 477 (복구래길 100)    예산사(禮山祠)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우로써 1389년(고려 창왕1) 사헌부 장령 진현관 직제학을 역임한 묵은공(黙隱公) 정희(鄭熙)선생과 1469년 (조선 예종1) 의정부 좌찬성을 역임한 문절공(文節公) 정수충(鄭守忠) 선생의 도덕과 문장을 추모하기 위해 1899년 지역 유림들이 건립한 하동정씨 예산사 문중 사우이다. 1899년 건립 당시의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고 조선후기 사당 건축의 규범이 잘 드러나 있는 건물로 역사성과 건축적 가치가 있다. 특히 예산사(禮山祠) 내부의 벽화는 화순 군내 사우 중에서는 가장 아름다운..

문화재 탐방 2025.02.28

전남 화순. 밀양박씨. 충효사(忠孝祠)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2호.

충효사(忠孝祠)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2호.(2001년 7월 22일 지정) 관리: 밀양박씨 문중 *소재지: 전남 화순군 도암면 벽지리 790 (벽동길 9-13) 충효사(忠孝祠)에는 박지수(朴枝樹, 1552~?)와 그의 아들인 박천주(朴天柱, 1578~?)를 배향하고 있다. 박지수는 1580년(선조 13년) 무과병과에 22인 중 급제 출신자로 1592년 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가 평안도로 몽진(蒙秦)을 갈 때, 왕자와 대군, 장계군 등의 함경북도 피난길을 호위한 임무를 맡았다. 그러던 중 회령부에서 왜적을 만나 3일 동안 싸우다가 중상을 입고 이내 순국하였다. 그러자 그의 가노(家奴) 근춘(斤春)이 시신을 수습하여 고향에 돌아와 소식을 전하자. 부인 노씨(魯氏) 역시 남편의 ..

문화재 탐방 2025.02.26

전남 화순. 풍산홍씨. 침수정(枕漱亭)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36호.

침수정.(우봉리 마을회관 앞에서 바라본 모습) 침수정(枕漱亭)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36호.(2008년 1월 9일) *소재지: 전남 화순군 춘양면 우봉리 368. 침수정(枕漱亭)은 풍산인 팔우(八愚) 홍경고(洪景古;1645~1699)가 세운 정자인데, 그가 허목(許穆)과 윤선도(尹善道)의 문인으로서 활동했던 것으로 보아 1600년대 말에 건립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 후, 이 정자는 타인의 소유로 넘어갔다가 홍경고 사후(死後) 181년이 지난 1879년에 후손들이 재구입하여 1885년에 중건한 것이다. 침수정의 뒷쪽에는 홍경모를 배향한 오산사(鰲山祠)가 있는데 현재는 이 정자가 오산사의 강당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오산사에는 침수정시집(枕漱亭詩集)과 오산사지(鰲山祠誌) 등의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문화재 탐방 2025.02.24

전남 화순. 문화유씨. 환산정(環山亭)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15호.

환산정(環山亭) 서성제 한 가운데 자리한 환산정이 마치 조그마한 섬처럼 보인다. *위 그림은 2016년에 촬영한 것임. 전남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15호.(2007년 1월 5일) *소재지: 전남 화순군 동면 서성리 147 (백천로 236-1) 환산정은 문화유씨 백천(百泉) 유함(柳涵)이 17세기 전반에 축조한 누정이다.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유함(柳涵)은 1637년 의병을 일으켜 청주까지 진격해 갔다. 그런데 인조가 강화를 체결했다는 소식을 듣고 의병을 해산한 후, 이곳으로 내려와 환산정을 짓고 은거하였다고 한다. 17세기 처음 정자가 지어질 때는 방 한 칸의 초가였다. 이후 퇴락한 것을 1896년 후손들이 중건하였고, 1933년 보수를 거치면서 단층 팔작지붕 골기와의 정면 5칸, 측면 2칸의 현재..

문화재 탐방 2025.02.21

전남 화순. 최경회 사당(부조묘:不祧廟) 전남 문화재자료 제64호.

최경회 사당(崔慶會 祠堂)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1984.02.29) *출입문이 잠겨있어 담장 밖에서 촬영하였음..   *소재지: 전남 화순군 화순읍 다지리 206-2번지.    최경회 사당. 부조묘(不祧廟)는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로 1984년 2월 29일에 임진왜란시 제2차 진주성 싸움에서 활약한 최경회(1532~1593)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 순조 때 세운 이 사당은 처음에 능주목 동면 금전리에 세웠다가 1963년 금전 저수지 축조로 지금 있는 자리에 옮겨 세웠다. 최경회 장군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전라남도 능주에서 태어났다. 명종 16년(1561)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1567년에는 과거에 급제하였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일본군을 장수에서 막아 싸웠..

문화재 탐방 2025.02.19

전남 화순. 포충사지(褒忠祠址)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60호.

포충사지 출입문.   포충사지(褒忠祠址)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60호.(2013.12.12.)  *소재지: 전남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산15-9. *포충사 위치는 죽수서원 바로 뒤편에 자리하고 있어 일단 죽수서원에 들리면 뒤쪽 협문을 통하여 출입이 가능하다.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전라우 의병장으로 각지에서 뛰어난 전공을 거두고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순절한 최경회(1532~1593)를 제향한 사우이다. 처음 사우가 건립된 년대는 1609년이고 1611년 사액되었다.  1630년(인조 8)에는 최경회와 함께 창의하여 큰 공을 세우고 진주성에서 순절했던 문홍헌(?~1593)을 배향하였다. 20여년이 지난 1655년(효종 6)에 도내 사림의 발의로 을묘왜변(1555년, 명종 10) 때 달랑진에서 순절한 ..

문화재 탐방 2025.02.14

전남 화순. 죽수서원(竹樹書院)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0호.

죽수서원 들머리.   죽수서원(竹樹書院)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0호.(1986.09.29)  *소재지: 전남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산15-3.(학포로 1786-45) *학포 양팽손 선생은 화순 일대에 많은 공헌의 흔적이 다양하다.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 자리한 죽수서원(竹樹書院)은 정암 조광조(1482∼1519)와 학포 양팽손(1488∼1545)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조광조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성리학 연구에 힘써 김종직의 학통을 이은 사림파의 대표적 인물이 되었다. '여씨향약'을 8도에 실시하도록 하였고 현량과를 처음 실시하였으며 위훈삭제사건으로 반정공신들의 반발을 사서 죽음을 당했다. 조광조는 선조 1년(1568)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양팽손은 조선 중기 문신이..

문화재 탐방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