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766

전남 장성. 삼일사(三一祠) 현충시설: 관리번호: 50-1-24.

삼일사(三一祠)SAM IL SHRINE  현충시설: 관리번호: 50-1-24.관리자: 신호섭(유족대표)  *소재지: 전남 장성군 북이면 모현1길 73 (모현리 387)   삼일사(三一祠)는 일제(日帝)침략에 대한 전남의 대표격인 항거(抗拒)로 평가하는 북이면 모현리 삼일운동의 거사를 일으켰던 류상설 외 12명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1989년 창건되었다. 1919년 3.1운동 후 만국강화회의에서 종속국가들이 민족자결 선언에 대한 영향으로 4월3일(음력 3월3일, 삼짇날) 아침에 마을 옆 촛대봉에 화전놀이를 빙자한 마을 주민 200여명이 집결하여 감격적인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였으나 당시 면장의 밀고로 주동자 3명이 체포되어 다음 말 4월4일 사거리(四街里) 장날을 기하여 전 주민과 장꾼들이 합세 독립기..

문화재 탐방 2024.11.18

전남 장성. 장성향교(長城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05호.

장성향교(長城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05호. (1985년 2월 25일)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성산2길 102. 고려 말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394년(태조 3) 북일면 오산리 교촌에 있던 향교를 복원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동현 장안리 장자동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이때 진원현이 장성현과 합해짐에 따라 진원리에 있던 진원향교를 없애고, 장성향교에 합치게 되었다. 효종 9년(1658)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명륜당ㆍ동재ㆍ서재ㆍ대성전ㆍ내삼문 등과 부속건물들이 있다. 경사지에 자리잡은 장성향교는 앞쪽 낮은 터에는 출입문인 ..

문화재 탐방 2024.11.13

전남 장성. 직산조씨. 조영규 정려(趙英奎 旌閭) 전남 기념물 제78호.

직산조씨(稷山趙氏) 조영규 정려(趙英奎 旌閭)  전라남도 기념물 제78호.(1985년 02월 15일)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방장로 655 (백암리 266-1)   전남 장성군 북이면 백암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전사한 조영규(1535∼1592)와 그의 아들 조정로(趙廷老)의 충효정려 사우로 1669년(현종 10)에 건립되었다.  조영규(趙英圭, 1535∼1592)의 본관은 직산(稷山)이고 자는 옥첨(玉瞻)이다. 그는 장성군 백암리에서 조준(趙準)의 아들로 태어났다.  무과에 올라 용천부사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냈으며, 청렴결백의 목민관으로 유명하였다.  임진왜란 때 양산군수로 있으면서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과 함께 동래성을 수비하다가 전사하였다. 호조참판에 추증..

문화재 탐방 2024.11.11

전북 고창. 고흥유씨. 현곡정사(玄谷精舍)

현곡정사(玄谷精舍)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7호.(1974년 9월 27일)   *소재지: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주곡1길 68-34 (주곡리 333)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주곡리에 있는 유영선(柳永善)이 건립한 일제강점기 정사(精舍) 유영선(柳永善)의 본관(本貫)은 고흥(高興), 자(字)는 희경(禧卿), 호(號)는 현곡(玄谷).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高敞) 출생. 아버지는 유기춘(柳基春)이며,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 이병현(李秉賢)의 딸이다. 전우(田愚)의 문인으로,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의 치욕으로, 전우를 따라 서해(西海) 고군산 외딴섬 왕등도(暀嶝島) · 계화도(繼華島) 등지에서 근 20년간 갖은 고초를 극복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였다. 현곡정사는 현곡(玄谷) 유영선..

문화재 탐방 2024.11.04

전남 고흥. 여양진씨. 무열사(武烈祠) 전남 기념물 제58호.

무열사 외삼문.  여양진씨(驪陽陳氏) 무열사(武烈祠)  전라남도 기념물 제58호.(1981년 10월 20일)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서신길 53-12 (신송리)   진무성(陳武晟)장군은 고려 초 호위 상장군으로 여양군(驪陽君)의 봉호를 받아 여양진씨(驪陽陳氏)의 시조(始祖)가 되시는 진총후(陳寵厚)의 후손이시다.  고흥의 여양진씨는 장군의 증조인 진문(陳汶)이 용인서부터 이곳 신송리로 입향하여 터전을 마련하였는데 장군은 부사 진인해(陳仁海)와 담양전씨 사이의 아들로 1566년 이곳 두원면 신송리에서 탄생하셨다.   진무성(陳武晟, 1566~1638)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 휘하의 군관으로 해상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1627년 정묘호란 때도 전공을 세운 무관이다.  진무성을 추모하기 위해..

문화재 탐방 2024.10.30

전남 고흥. 쌍충사(雙忠祠) 전남 기념물 제128호.

쌍충사(雙忠祠) 홍살문.  전라남도 기념물 제128호.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목넘가는길 34 (봉암리 2202)   쌍충사(雙忠祠)는 충렬공 이대원(李大源, 1566~1587)과 충장공 정운(鄭運, 1543~1592)의 충혼을 모시는 사당이다. 이대원은 1587년 녹도만호(鹿島萬戶)가 되어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를 물리쳤고, 다시 흥양(고흥)에 왜구가 침입하자 이에 맞서 싸우다가 손죽도 해상에서 순절했다. 정운은 1591년 녹도만호가 되어 1592년에 옥포 · 당포 · 한산해전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며 부산 몰운대 앞바다에서 순절했다. 이순신 장군의 요청으로 이대원을 모시고 있던 사당에 정운을 추가로 모시게 되었다. 녹도만호를 지낸 이대원과 정운 두 사람의 충신을 모시게 되면서 사당의 명칭을 ..

문화재 탐방 2024.10.28

전북 군산. 염의서원(廉義書院) 군산시 향토문화유적 제5호.

염의서원(廉義書院)  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5호.(2003년 12월 20일)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산면 염의서원길 156-9. (옥산면 당북리 723-1)   염의서원(廉義書院)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산면 당북리에 있는 제주고씨(濟州高氏)의 서원으로 숙종 11년(1685)에 최치원과 군산지역의 유학자인 고경(高慶)ㆍ고용현(高用賢)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순조 4년(1804)에 사액되었으며, 고종 5년(1868)에 서원 철폐령으로 헐렸다가 1920년에 현재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한림마을 북서쪽의 산자락에 남서향하여 자리 잡고 있으며 1685년에 창건하여 1804년(순조 4)에 사액을 받았다.  1868년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20년 재건립하였다.  서원..

문화재 탐방 2024.10.21

전북 군산. 옥산서원(玉山書院) 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

옥산서원(玉山書院) 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 (2003년 12월 20일)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50. 옥산서원은 서기 1929년에 건립된 서원으로 일제에 국권을 잃은 상황에서도 충, 효와 예절을 숭상하는 전통문화를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던 이 지역 유림(儒林)들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본 서원에서는 신라시대의 성현 문창후 최치원 선생을 비롯하여 옥구지역의 문무 및 충효에 특출한 선현(先賢) 14분을 모시고 유림들의 배향으로 매년 음력 9월 계정일(季丁日)에 대제(大祭)를 올리고 있다. 옥산서원에는 사당인 옥산원, 강당, 내삼문, 원직사, 외삼문 등 총 5채의 건물이 있다. 그 중 중심 건물인 옥산원은 낮은 콘크리트 기단에 자연석 덤벙 주초를 놓고 그 위에 원주를 세..

문화재 탐방 2024.10.18

전북 군산. 자천대. 전북 문화재자료 제116호. & 문창서원.

자천대 외삼문.  자천대(紫泉臺)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6호.(1984.04.01)   *옥구향교 경내 우측 담장 밖 외곽으로 자천대와 문창서원 및 단군성묘가 자리하고 있어 소개하겠습니다. ^^*   *소재지: 전북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50 (옥구읍)   자천대(紫泉臺)는 최치원과 관련된 일화가 남아있는 군산지역의 대표적인 누정 건축물로써 옥구향교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옥구군 선연리의 동산에 있었으나, 1934년 군용비행장 안으로 편입되자, 당시 유림들과 옥구 군수가 이를 옥구향교로 옮기고 경현재라 하였다가 1967년에 다시 건립하였다.  자천대(紫泉臺)는 본래 옥서면 선연리 하제 인근 바닷가의 작은 바위산을 칭하는 명칭이었는데 그 산 위에 2층 정자가 자리하고 있어 이 또한 자천대(..

문화재 탐방 2024.10.14

전북 군산. 옥구향교(沃溝鄕校) 전북 문화유산자료 제96호.

옥구향교(沃溝鄕校)  전북 문화유산자료 제96호.   *소재지: 전북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50.(옥구읍 상평리 626)   옥구향교는 조선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으로 1403년(태종 3) 옥구읍 이곡리(耳谷里)에 창건되었다. 1484년(성종 15)에 상평리로 옮겼다가 1646년(인조 23)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경내에 대성전, 명륜당, 문창서원, 자천대 등의 전각이 있고, 부속 건물로 외삼문, 내삼문, 교직사 등이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공자를 비롯한 5성, 송(宋) 4현과 한국 18현을 배향하고 있으며, 1984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96호로 지정되었다. 명륜당과 전사재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며, 양사재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문화재 탐방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