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768

광주광역시 남구. 부용정(芙蓉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

광주 남구. 부용정(芙蓉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1990.11.15 지정)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 129 (고싸움로 2) * 광주지역 향약이 처음 시행된 곳, 부용정(芙蓉亭) 부용정(芙蓉亭)은 고려 말 조선초에 활동한 김문발(金文發, 1359∼1418)이 지은 정자로 평야가 펼쳐져 있는 평지에 2단으로 대지를 고른 후 건립되었다. 정자의 이름은 연(蓮)을 꽃 중의 군자(君子)라고 칭송하였던 북송(北宋) 주돈이(周敦 )의 애련설(愛蓮設)에 담긴 뜻을 취하여 지었다. 이 정자는 광주지역 향약의 시행장소로 매우 유서가 깊은 곳이다. 또한 그는 이곳에서 이시원(李始元), 노자정(盧自亭) 등과 학문을 논하고 시를 읊기도 하였다. 건물은 정·측면 다같이 3칸으로 기둥머리에 공포가 없는 민도리집이다..

문화재 탐방 2018.08.22

전남 무안. 동암묘(東巖廟) 향토문화유산 제5호.

무안. 동암묘(東巖廟) 입구. 향토문화유산 제5호.(창건-1771, 중건-1971)  전남 무안군 운남면 원동암길 117 (동암리 6)      동암묘는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에 있으며 2009년 4월 16일 무안군의 향토유적 제5호로 지정되었다.  1777년 마을의 촌로인 성(成), 이(李), 박씨(朴氏)의 견몽에 구천을 방황하는 사도세자의 원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처음 설단하였다.  이후 1874년에 사우를 건립하였고 1899년(고종광무3)에 사도세자가 장조황제로 추존되면서 훼철되었다가, 또 다시 마을에 재액이 발생되고 연이은 흉년이 들자 1918년에 입묘(立廟)하게 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1971-1973년에 중건한 것이며 이때 동암묘 묘정비(東岩廟 廟廷碑)도 건립되었다. 사도세자는 이 마을의 수호신..

문화재 탐방 2018.08.13

전남 무안. 학산사(鶴山祠) 향토문화유산 제8호.

무안. 학산사(鶴山祠) 향토문화유산 제8호.(창건-1750 / 중건-1919 ) 전남 무안군 해제면 대사길 75.    담장 밖에서 바라본 학산사.  학산사(鶴山祠)는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에 있으며 2009년 4월 16일 무안군의 향토유적 제8호로 지정되었다.  악은(岳隱) 노신(魯愼,1336~), 금계(錦溪) 노인(魯認, 566~1622)의 충의와 유풍을 추모하기 위해 1789년(정조 13) 악은사(岳隱祠)라는 이름으로 나주군 문평면 동원리에 창건되었던 사우였다.  1868년(고종 5) 서원훼철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16년 현재의 소재지로 이건하였다. 1966년 충열선조(忠烈先祖)들인 노일상(魯一相)·노봉(魯鴻)·노연백(魯淵白) 등을 추배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노일상(1842~)은 조선후기 ..

문화재 탐방 2018.08.10

전남 무안. 화표정(華表亭) 향토문화유산 제10호.

무안. 화표정(華表亭) 향토문화유산 제10호.(제작연도: 1875년/2009.4.19) 전남 무안군 무안읍 백로로 15-60 (성내리 317번지)     화표정은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에 있으며 2009년 4월 16일 무안군의 향토유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  1875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의 건물은 1987년 중수된 것이다. 나주 정씨 문중 제실로 이용되고 있으며 좌측에는 선대 묘 2기가 있다.  이 정자의 화표정(華表亭) 정자 이름에는 그 무엇인가를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듯 보였다. 화표(華表)란 중국에서 궁전이나 묘우(廟宇), 혹은 능묘 전방에 세운 한 쌍의 석주를 말한다.  화표(華表) 기둥은 한대(漢代)의 도사 정령위(丁令威)가 도(道)를 얻어 학(鶴)이 되어 요동(遼東)에 돌아와서 화..

문화재 탐방 2018.08.08

전남 영암. 상대포 역사공원의 홍련화. 전남 기념물 제20호.

영암 상대포 역사공원의 상대정(上臺亭) 전라남도 기념물 제20호.  전남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783-1.   상대포 역사공원 이정표.  상대포(上臺浦)는 예로부터 호남 3대 명촌으로 손꼽힌 영암 구림 마을에 있었던 옛 포구로, 백제 때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일본 등을 오가는 배들이 드나드는 국제 포구로 이름을 떨쳤다.  특히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초 사이 상대포는 각종 문물과 문화가 활발히 교류하는 국제 포구로서 전성기를 누렸다. 이는 상대포 가까이에 청해진이 설치되어 장보고의 해상 무역이 왕성하게 전개되었다는 사실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또한 구림마을이 오래 전부터 도기 생산의 중심지였던 것도 상대포와 무관하지 않다. 국제 포구인 상대포를 통하여 중국과의 교역이 활발해지자 구림마을을 중..

문화재 탐방 2018.07.27

전남 무안. 분매사(盆梅祠) 향토문화유산 제7호.

무안. 분매사(盆梅祠) 향토문화유산 제7호.(창건-1750 / 중건-1919 / 2009.4.19) 전남 무안군 해제면 내분길 2-5 (덕산리 2구 330번지)    분매사(盆梅祠)  분매사(盆梅祠)는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에 있으며 2009년 4월 16일 무안군의 향토유적 제7호로 지정되었다. 파평 윤씨의 명조(名祖)들을 제향하는 분매사는 1750년(영조 26)의 후손들에 의해 함평군 해보면 모평마을에 창건하였던 것이다.  그 후 서원훼철령(1868)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19년 후손들이 많이 살고 있는 현재의 소재지로 이전 복설하였으며, 그 후 2차례의 중수를 거쳐, 1985년 현재의 새 건물을 구지(舊地)의 서편에 이건하였다. 윤길(尹吉)·윤덕생(尹德生)·윤예형(尹禮衡)·윤지원(尹之元)을 추배하..

문화재 탐방 2018.07.13

전남 무안. 침계정(枕溪亭) 향토문화유산 제12호.

무안 침계정(枕溪亭) 향토문화유산 제12호.(제작연도: 1900년대 초 /2009.4.19)  전남 무안군 삼향읍 유교리 536-1.    유교리 침계정 표지석.  침계정(枕溪亭)은 유교리 관동마을 입구에 위치한 정자로 정확한 건축연대는 알 수 없으나 정자의 상량보에 쓰여진 기록은 병자년으로 되어있으니 지난 1936년이 병자년이므로 약 83년 전에 세워진 정자 같다.  정자 옆 당산나무에서 당산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정자이름이 말하여 주듯이 마을 앞을 지나는 계류에 바로 면하여 자리하고 있다.  건립 년대는 20세기 초쯤으로 여겨지며 건축양식은 화려하지 않은 간결한 굴도리 구조로 되어 있다.  정자 주위에는 현대 당산나무 3그루가 있고 그 위쪽 가까운 거리에는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나상열 ..

문화재 탐방 2018.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