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766

충남 홍성. 김좌진장군 생가 & 기념관. 충청남도 기념물 제76호.

김좌진장군 생가지 (金佐鎭將軍 生家地)  충청남도 기념물 제76호.   충남 홍성군 갈산면 백야로546번길 12.  백야 김좌진(白冶 金佐鎭: 1889∼1930) 장군이 살았던 곳으로 충청남도 홍성 출신으로 대한제국 후기의 독립운동가이다.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된 후 청년학우회 등의 간부를 지냈고, 1913년에 대한제국 광복단에 가입하여 자금을 모으다가 체포되어 3년 간 복역한 후 1917년 만주로 망명하였는데, 이후 13년 간 평생을 항일전투에 몸바쳤다.  1920년 10월 청산리전투에서 일본군을 섬멸하였는데 이것이 독립 전투상 승리의 금자탑을 세운 일로 기록되는 청산리전투이다. 1929년 정신, 이붕해 등과 함께 한족총연합회를 조직하여 주석에 취임하고, 만주에 거주하는 동포의 교육과 민생에 주..

문화재 탐방 2015.06.03

전남 무안. 문화류씨. 화설당(花雪堂) 전남 문화재자료 제271호.

무안 화설당(務安 花雪堂)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71호(2009.03.20)  전남 무안군 청계면 사마리 434-3 (화설당 마을)   무안 화설당(務安 花雪堂) 안내문. 무안 화설당(務安 花雪堂)은 유운(柳運, 1580~1643)이 1610년경에 건립했는데 명칭은 1612년 겨울에 나주 목사(羅州牧使) 박동렬(1564-1622)이 수은(睡隱) 강항(姜沆)(1567-1618)과 찾아와 겨울인데도 동백꽃이 있어서 화설(花雪)이라 하고 시(詩) 1수를 남긴 데서 연유한다.  강항(姜沆)은 화설당기(花雪堂記)를 남기며, 송시열(1607~1689)이 판액을 썼다. 1728년, 1869년에 중수하였다. 건축 구성에 있어서도 다른 정자와 평면형식이 구별된다. 즉 완전한‘一’자형으로 좌로부터 방, 방, 대청 2칸..

문화재 탐방 2015.05.20

전남 무안. 나주임씨. 식영정(息營亭) 전남 문화재자료 제237호.

무안 식영정(務安 息營亭)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7호. 전남 무안군 몽탄면 이산리 551. 식영정(息營亭)은 한호(閑好) 임연(林堧: 1589∼1648)선생이 1630년에 무안에 입향 이후 강학소요처로 지은 정자로 영산강[이호(梨湖)]과 그 주변의 경관과 어울려 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은 곳이다. 그리고 임연(林堧)의 증손으로 『동사회강』을 지은 문인 학자인 노촌(老村) 임상덕(林象德, 1683∼1710)이 제현과 교류하는 등 무안 몽탄 이산리의 나주 임씨 강학교류 공간이었다. 무안 이거와 경관, 정자건립 등에 관해서는 1643년경에 임연(林堧)이 지은 『복거록(卜居錄)』에 잘 나타나 있고 교류한 문인도 많다. 식영정(息營亭)은 창건주 임연의 증손인 노촌 임상덕 等이 代를 이어가면서 교류공간으..

문화재 탐방 2015.05.18

전남 강진. 수암서원(秀岩書院)

수암서원(秀岩書院) 통로석. 전라남도 기념물 제39호.  전남 강진군 성전면 동령길 51 (수양리)  수암서원(秀岩書院)은 이선제· 이조원· 이중호· 이발· 이길 등 5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필문 이선제(생몰년 미상)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호조참판과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세종실록』편찬과 『고려사』의 내용 중 사실과 다른 점을 고쳐서 편찬하는 일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조원· 이중호· 이발· 이길 등은 모두 이선제의 자손으로 여러 벼슬을 하였던 분들이다. 인조 2년(1624)에 세운 이 서원(書院)은 고종 5년(186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어 1901년에 임시로 단을 세워 제사를 지내오다가 1919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사당과 강당,..

문화재 탐방 2015.05.15

전남 나주. 미천서원(眉泉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29호.

나주. 미천서원(羅州 眉泉書院)전라남도 기념물 제29호. 주소: 전남 나주시 안창동 383번지.  나주 미천서원(眉泉書院)은 조선 후기 문신인 허목(1595∼168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허목은 여러 벼슬을 거쳐 이조참판과 우의정을 역임한 분으로 그림, 글씨, 문장에 모두 능하였는데 특히 전서에 뛰어났다. 숙종 5년(1679)에는 고향인 경기도 연천으로 돌아와 후진 교육에 전념하였다. 숙종 16년(1690)에 세운 이 서원은 숙종 19년(1693)에 나라에서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미천(眉泉)'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정조 23년(1799)에 조선 후기 무신인 채제공(1720∼1799)을 추가로 모시고 섬기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5년(1868)에 폐쇄되었고, 고종 2..

문화재 탐방 2015.05.13

전남 나주. 설재서원(雪齋書院)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93호.

설재서원(雪齋書院) 입로석.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93호.  전남 나주시 노안면 영안길 60 (영평리)    설재서원(雪齋書院)은 설재(雪齋) 정가신(1244∼1298)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서 정가신은 고려 문신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자리를 거쳤으며 뛰어난 문장가이기도 하다. 숙종 14년(1688) 노안면 금안동에 세운 이 서원은 숙종 38년(1712)에 향사우로 승격되어 설재서원이 되었다. 경종 3년(1723)에 영안마을로 이전하면서 강당인 영모재를 세웠다. 그 뒤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53에 다시 세웠다. 이곳에는 현재 9명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데, 숙종 19년(1693)에 효자 정려를 받은 정식, 경종 3년(1723)에 신장과 정심을, 195..

문화재 탐방 2015.05.11

전남 나주. 정렬사(旌烈祠) 전라남도 기념물 제48호.

정렬사 홍살문. 정렬사(旌烈祠)  전라남도 기념물 제48호.  주소: 전남 나주시 대호동 642번지.   정렬사(旌烈祠)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김천일장군(1537~1593)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호(號)는 건재(健齋)이며 나주에서 태어나 1573년 군기시 주부등로 있었으며 1578년 임실 현감을 지냈으며 1592년 임진왜란 때 나주에 있다가 고경명, 박광옥, 최경회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김천일 장군은 왜군이 차지한 서울에 결사대를 보내 싸우고 한강 근처에 있는 적을 공격하는 등 크게 활약하였으며 수원에서는 독성산성을 근거리조 하여 금령 전투에서 크게 승리도 하였다. 그 뒤 김천일 장군은 강화도로 근거지를 옮겨 전투준비를 하고 관군 등과 힘을 합쳐 양화도 전투에서도 왜군을 크게..

문화재 탐방 2015.05.08

전남 나주. 최희량장군 신도비 및 사당과 묘지. 전라남도 기념물 제53호.

최희량 장군 신도비(崔希亮 將軍 神道碑) 전라남도 기념물 제53호. 전남 나주시 다시면 가흥리 369번지.   최희량 장군 신도비 안내문.  신도비(神道碑)란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가까이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인 최희량 장군을 기리고 있다.  최희량(1560∼1651)은 35세 되던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흥양현감으로서 이순신 장군의 지휘 아래 큰공을 세웠으며, 적의 포로로 있던 신덕희 외 700여 명이 살아서 돌아올 수 있게 하였다.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이 전사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가 조용히 지내다 효종 2년(1651)에 생애를 마쳤다.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돌을 올..

문화재 탐방 2015.05.06

전남 나주. 보산정사(寶山精舍)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나주 보산정사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전남 나주시 다시면 영동리 662-1번지.  영동리 마을 입구에 있는 보산정사(寶山精舍) 는 조선 중종(재위 1506∼1544) 때부터 선조(재위 1567∼1608) 때까지 이 마을에서 태어난 8인의 선비들이 학문을 닦고 후진 양성에 힘쓴 곳이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보산정사(寶山精舍) 북쪽에 있는 보산사(寶山祠)는 8인의 문관들을 모시는 사당이다. 앞면 3칸·옆면 1칸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정조 22년(1789)에 지었다고 하는데 지금 있는 건물은 1900년대에 다시 지은 것이다. 보산정사(寶山精舍)는 크고 오래된 누각(樓閣) ..

문화재 탐방 2015.04.29

전남 나주. 무열사(武烈祠) 전라남도 기념물 제57호.

나주 무열사(武烈祠) 전경. 전라남도 기념물 제57호.   전남 나주시 다시면 무숙로 637-31 (영동리)  나주 무열사(武烈祠)는 조선 정조 21년(1797)에 무열공 배현경, 금헌 배정지, 정절공 배극렴을 모시기 위해 지은 사당(祠堂)으로 무열사(武烈祠)라 사액(賜額)하였다. 무열공 배현경은 고려 태조 때 무신으로 경주 사람이다. 궁예 때부터 활약했던 인물이며, 고려 건국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에 일등공신에 오르고 태조를 도와 후삼국 통일에 많은 역할을 하였다. 시호(諡號)는 무열(武烈)이다. 금헌 배정지는 고려시대의 무신으로 10세에 금위에 들어가 도지가 되었다. 그는 원나라에 들어가 원제로부터 용사라는 칭찬을 받고 백금을 하사 받기도 하였다. 정절공 배극렴은 고려 말 왜구 토벌에 공을 세운 조..

문화재 탐방 201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