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유적 53

서울 중구. 충무공 이순신 생가터.

충무공 이순신 생가터 표지석. 위치: 서울 중구 마른내로 47.지번: 서울 중구 초동 18-5. 명보아트홀 앞. 2015년 10월 17일(토요일) 오후 1시, 서울역에서 웹벗님들과 모임을 갖기 위해 상경하여 처형 집에서 하루밤을 묵고 오전 11시경에 택시를 타고 명보아트홀로 향했다. 그곳에 가면 충무공 이순신 장군 생가터가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기에 웹 벗님들 만나기 이전에 미리 찾아 나섰다. 충무공 이순신이 태어난 생가터로서 공(公)은 1545년 이곳에서 태어나 소년시절을 보냈던 것으로 전하는데 이곳이 이순신 장군 생가터라는 그럴듯한 안내판 하나 없고 오로지 조그마한 표지석이 전부이다. 이곳을 찾아가기 위해 택시를 타고 가면서 기사님께 물어도 모른다고 하면서 그런 게 있었느냐고 반문할 정도였다. -..

이순신 유적 2015.10.21

충남 아산. 이충무공 묘소(李忠武公 墓所)

이충무공 묘소 안내도. 사적 제112호. *주소: 충남 아산시 음봉면 고룡산로 12-38. 이충무공 묘소 관리사무소. 홍살문. 이충무공 묘 안내판. 이충무공 묘소 입구에서 바라본 전경. 사적 제112호. 1598년 11월 19일(양력 12월 16일) 노량해전에서 전사(戰死)한 공(公)의 유해는 최후의 진지(陣地)였던 완도 고금도에 일단 모셔졌다가 이듬해인 1599년 2월 운구되어 인근 아산시 음봉면 금성산에 장사(葬事)되었으며 순국 16년 뒤인 1614년 이곳 어라산으로 이장(移葬)되었다고 합니다. 이충무공 묘소는 1959년 5월 22일 사적 제112호로 지정되었으며 1973년 7월 19일부터 충무공 종손의 동의를 얻어 현충사관리소에서 묘역을 관리하고 있으며 묘소는 충무공의 배위인 상주 방씨와의 합장 묘..

이순신 유적 2015.06.01

충남 아산. 현충사(顯忠祠)

현충사 정문. *주소: 충남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126. 현충사를 포함하여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 입장료는 무료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주차장 이용료도 무료이다. 입장시간은 하절기는 오전 9시~오후 6시. 동절기는 오전 9시~오후 5시까지이다. - 관람 안내 - 하절기(3월~10월) 오전 09:00 ~ 오후 06:00. 동절기(11월~2월) 오전 09:00 ~ 오후 05:00. 매주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관람 요금 및 주차비 무료. 현충사(顯忠祠)는 사적 제155호로 지정된 충남 아산시 염치면 백암리 일대에 있는 사당으로 1704년(숙종 30) 아산의 지방 유생들이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사당건립을 상소함에 따라 1706년에 건립했으며, 그 이듬해 '현충사(顯忠祠)'..

이순신 유적 2015.05.30

충남 아산. 현충사 충무공 이순신기념관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 전경. *주소: 충남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126. 현충사 입구를 들어가면 왼쪽에 바로 보이는 회색 빛깔의 건물이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 외관이다. 현충사는 입장료가 무료이며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 역시 입장료가 무료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입장시간은 하절기는 오전 9시~오후 6시. 동절기는 오전 9시~오후 5시까지이다. - 관람 안내 - 하절기(3월~10월) 오전 09:00 ~ 오후 06:00. 동절기(11월~2월) 오전 09:00 ~ 오후 05:00. 매주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관람 요금 및 주차비 무료. 이충무공 영정. 임진왜란 연표. 조선의 화포. 일본의 무기. 조선과 일본의 군선모습. 각선도본전선(各船圖本戰船) 거북선의 모형도. 조선과 일본의 무기와 전술 모형도. 장수선..

이순신 유적 201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