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찰 207

전남 강진. 전남 유형문화재 136호. 백련사(白蓮寺)

백련사 일주문.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백련사길 145 (만덕리 246) 백련사(白蓮寺) 백련사는 신라 문성왕 때 무염국사(801~888)가 산 이름을 따라 만덕사(萬德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전해집니다. 이후 쇠락했다가 1211년(고려 희종 7년)에 원묘국사 요세(1163~1245) 스님에 의해 옛터에 중창되었고, 백련결사를 맺어 수행하면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고려 후기 무신정권 시기에 정치와 종교는 제 기능을 상실했고, 몽고와 왜구의 침략으로 민중의 삶이 살육과 눈물로 점철된 고난의 시대에 요세 스님은 어둠의 한가운데에서 희망을 열어 가고자 했고, 현세의 인간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보여주는 결사운동을 벌였습니다. 이러한 백련결사는 개경에서 멀리 떨어진 남도 땅 끝에서 민중들과 ..

한국의 사찰 2021.12.15

전남 강진. 고성사(高聲寺)

고성사 대웅전. *주소: 전남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353 (고성길 260)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보은산 기슭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의 말사이다. 1211년(고려 희종 7년) 원묘국사(圓妙國師) 요세(了世, 1163∼1245)가 강진 만덕산 백련사(白蓮寺)를 중창할 때 함께 지었으며 1805년(순조 5년) 강진군에 귀양 온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머물며 혜장(惠藏, 1772~1811) 스님과 교우한 곳으로 당시에는 고성암(高聲庵)으로 불리었으며, 정약용은 고성사에 보은산방(報恩山房)이라는 초막을 지어 머물렀다고 한다. 보은산(寶恩山, 해발 439m)은 산세가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인데, 꼭대기는 소의 머리에 해당하는 우두봉(牛頭峰)이라 하고 이 절이 있는 곳은 ..

한국의 사찰 2021.12.08

전남 진도. 쌍계사(雙溪寺) 전남 유형문화재 제121호.

진도, 첨찰산 쌍계사 일주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 (1985.02.25)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76 (운림산방로 299-30) 진도 첨찰산(尖察山) 기슭에 자리한 쌍계사(雙溪寺)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本寺) 대흥사의 말사(末寺)로서 857년(신라 문성왕 19)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였다. 절집 양옆으로 시냇물이 흘러 쌍계사라 불렀다고 하며, 1648년(조선 인조 26) 의웅(義雄)이 중건하였다. 1677년(숙종 23) 대웅전을 세웠으며, 1695년에는 시왕전(十王殿)을 중건했다. 1880년 의 저자인 각안(覺岸: 1820∼1896)이 머물며 동산(東山). 지순(知淳)과 함께 대법당과 시왕전. 첨성각을 중수했으며, 이후 1980년 도훈(道薰)이 해탈문(解脫..

한국의 사찰 2021.11.29

전남 진도. 향적사(香積寺)

진도. 향적사(香積寺) *주소: 전남 진도군 진도읍 남동리 77 (왕온로 101-18) 대한불교 조계종 22교구 대흥사 말사로 1939년에 원명 비구니 스님께서 창건하시고 1950년부터 용구대화상께서 불법을 펴시다 1975년 열반하시고 1976년부터 법일스님이 부임하여 퇴락한 대웅전과 천불전, 요사채 등을 중건하여 사격(寺格)을 일신하여 오늘에 이르다. - 웹사이트 - 화장실 옆에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주차장에서 10여 미터 오르면 향적사 대웅전이 나타난다. 대웅전. 대웅전 현판. 종각. *법종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심검당(尋劍堂) 교육관인 듯하다. 천불전. 천불전 좌우로 공사 중인 도량. 공사 관계로 도량이 어수선하다. *다녀온 날: 021년 11월 14일.

한국의 사찰 2021.11.24

전남 신안. 전통사찰 제83호. 일심사(一心寺)

3 신안. 한국 불교 태고종 일심사(一心寺) 전통사찰 제83호. (2003.02.25. 지정) *소재지: 전남 신안군 지도읍 읍내리 139 (읍내길 67-13) 일심사는 한국 불교 태고종 소속으로 신안군 지도읍사무소 뒤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위에 지도초등학교와 지도향교가 자리하고 있다. 일심사는 300여 년 전부터 관운장의 초상을 모시는 사당으로 존재하였다가 1919년에 현재의 법당 및 요사채가 중창되었다. 그 후 1951년 8월 재창되었다. 창건 당시는 위령사라 명명하였으나 1953년 일심사로 개명하였다. 그러나 기록이 전무하여 창건연대와 규모 등을 정확히 확인할 길이 없다. 한국 동란 중에 전몰한 군인, 경찰을 포함한 호국영령들의 540여 위패를 모시고 있는 극락전이 있어 국가와 민족을 위해 장렬하게..

한국의 사찰 2021.08.27

전남 신안. 전통사찰 제50호. 금산사(金山寺)

금산사(金山寺) 전통사찰 제50호. (1988년 7월 27일 지정) *소재지: 전남 신안군 압해읍 가룡리 산 22 (가룡길 130) 금산사로 유명한 사찰은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금산사가 유명하지만 전남 신안군 압해읍에도 금산사라는 사찰이 규모는 작지만 그런대로 당우도 갖추어져 있는 사찰이다. 금산사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 말사로 되어있다. 지금으로부터 약1500년 전 가룡면에 자리한 금산사(金山寺)는 599년 백제 법왕의 자복 사찰로 세워졌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전해오는 것을 보면 진표율사가 762년부터 4년에 걸쳐 증건하였으며, 1069년(문종 23)혜덕왕사가 대가람으로 재청하고, 그 남쪽에 광교원이라는 대사구를 증설하여 창건이래 가장 큰 규모의 대도량이 ..

한국의 사찰 2021.08.23

전북 정읍. 대한불교 일붕선교종. 용화사

정읍. 용화사 소재지: 전북 정읍시 상평동 38-2 (용신길 88) 용화사는 전북 정읍시 상평동 38-2(용신길 88)에 자리하고 있는 대한불교 일붕선교종에 소속된 山중 사찰이다. (재)대한불교 일붕선교종은 석가세존을 교조(敎祖)로, 태고보우국사를 종조(宗祖)로 하며 1988년 일붕(一鵬, 徐京保) 스님을 개조(開祖)로 하여 서울 신영동 일붕선원 대법당에서 창종되었다. 일붕 스님은 1932년 제주도에서 출가하였고 1950년대까지는 교학과 교율에 열중하다가 1960년대부터 포교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965년에는 한국 최초로 해외포교사가 되어 활발한 포교사업에 나섰으며, 1992년 세계법왕청에서 초대 법왕으로 추대되었다. (재)대한불교 일붕선교종은 석가모니의 자각각타 각행원만의 교리를 봉체하고 직지인심, ..

한국의 사찰 2021.08.09

전남 나주. 만봉리 석조여래입상 (전남 유형문화재 제64호)

나주. 만봉리 석조여래입상(羅州. 萬峰里 石造如來立像) 전남 유형문화재 제64호. (1976.09.30. 지정) *만봉리 석조여래입상을 필자가 처음 찾았을 때는 2017년 1월이었는데, 그때는 전각이 마련되어있지 않고 난장에 방치되다 싶이 봉안되었었는데 이번에 다시 찾았을 때는 전각을 마련하여 봉안해두어 보는 이로 하여금 기분이 좋았다. *주소: 전남 나주시 봉황면 덕룡로 180-48 (만봉리 414-8) 나주 만봉리 석조여래입상은 하나의 화강암을 끝이 뾰족하게 다듬어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를 만들고, 그 위에 여래입상을 돋을새김한 것이다. 둥근 얼굴에 살짝 감은 눈, 잔잔한 미소를 띤 입, 길게 늘어진 귀에서 원만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옷은 양어깨에 걸쳐서 입고 있는데, U자..

한국의 사찰 2021.06.30

전남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 (전남 유형문화재 제259호)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靈巖. 望月寺 石佛坐像)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2002.11.27. 지정) 주소: 전남 영암군 신북면 호산로 611-35 (이천리 산 159-7) 당우는 극락전과 약사전으로 규모는 조그만 절집이지만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불좌상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로 지정되어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라 할 수 있다. 망월사 극락전. 극락전 현판. 극락전 삼보불전. 삼보불전. 삼보불전. 지장탱화. 삼성탱화. 신중탱화. 범종각을 대신한 극락전에 안치한 호산 망월사라고 새겨진 종. 석불좌상을 모신 약사전. 약사전 현판. 망월사 석불좌상 안내문. 망월사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불상은 두께가 32㎝나 되는 두꺼운 돌에 양각을 한 여래좌상이다. 불신 뒤에는 배(舟) 모양의 광배가 ..

한국의 사찰 2021.06.23

전남 함평. 보광사 범종(전남 유형문화재 제172호)

함평, 보광사 일주문. (지난 2016년에 방문했을 때는 없었는데 최근에 세운 것 같다) 함평, 보광사 범종(咸平, 普光寺 梵鐘)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2호. (1990.02.24. 지정) *주소: 전남 함평군 함평읍 함평리 288번지. 범종은 법당 왼쪽의 범종각에 보관되어 있는 종(鐘)이다. 원래는 무안 원갑사의 종(鐘)이었으나 폐사되자, 함평의 용천사를 거쳐 한국 전쟁의 혼란을 피해 1967년 현 위치에 옮겨진 것이라 한다. 형태를 보면,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는 2마리의 용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고, 용의 다리와 종을 연결하여 무게를 지탱하고 있다. 몸통 윗부분은 2줄의 띠를 두르고 그 안에 8자의 범자를 새겼다. 그 아래에는 사각형의 유곽이 있고, 안에 돌출된 9개의 유두가 배치되어 ..

한국의 사찰 2021.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