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찰 207

전북 김제. 망해사 낙서전(樂西殿) 전북 문화재자료 제128호.

망해사(望海寺) 2020 한국관광공사 비대면 관광지 100선 선정되었다.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1004 (심포10길 94) 망해사는 754년(경덕왕 13) 통장법사(通藏法師)가 창건한 후 성쇠를 거듭하다가 1609년(광해군 1) 진묵대사(震默大師)가 중창하였다. 1933년부터 다시 본전을 개수하였고, 1977년에는 보광명전(普光明殿)· 칠성각(七星閣)· 낙서전을 복원· 중수하였다. 1984년에는 보광명전과 칠성각을 헐고 그 자리에 대웅전을 새로 지었으며, 1989년 종각을 새로 지었다. 망해사 이정표와 애국지사 곽경열 선생 추모비 이정표가 함께 붙어있다. 망해사로 향하는 길목. 망해사 안내판이 길손을 반긴다. 안내판 바로 옆에 부도탑이 있다. 잠시 후 망해사 도량에 들어섰다. 도량 앞에..

한국의 사찰 2023.01.18

전북 순창. 전북 전통사찰 제63호. 실상암(實祥唵)

실상암(實祥唵) 전북 전통사찰 제63호. (1988. 10. 28) 전북 순창군 순창읍 금산로 56. 063)653-3384 소속종단: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선운사 말사. 최초창건: 1936년 주운대사 창건. 순창읍내에 자리 잡고 있는 이 암자는 1936년 10월15일 순창읍 순화리에 거주하는 이가화(일명: 정실행)와 주운대사(柱雲大師)의 제기로 창건하고 성가불상을 봉안하였다. 다시 1938년에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을 봉안하였다. 1972년 이상호(李相昊)가 대웅전을 중건하였다. 이 절을 창건할 때 순창여자 중학교에 위치(玉泉寺의 경내)하고 있는 3층 석탑으로부터 상서(祥瑞)로운 빛이 이곳에 비쳤다고 해서 절 이름을 실상암(實祥唵)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경내에는 대웅전, 요사채 2동, 석탑, ..

한국의 사찰 2022.07.14

충남 서산. 충남 유형문화재 제184호. 간월암(看月庵)

서산, 간월암 전경.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2007년 9월 20일. 지정) *소재지: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1길 119-29. *간월암은 하루 2차례 밀물과 썰물의 시간에 따라 간월도리에서 썰물시에만 들어갈 수 있다. 방문시에는 사전에 조수시간을 알아보고 가는 게 편리하다. 간월암(看月庵)은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 위치한 암자로서 조선 초 무학대사가 창건하였으며, 만공대사가 중건하였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간월암은 다른 암자와는 달리 간조시에는 뭍과 연결되고 만조시는 섬이 되는 신비로운 암자로 만조시에는 물 위에 떠 있는 암자처럼 느껴진다. 밀물과 썰물은 6시간마다 바뀌며, 주위 자연경관과 고찰이 어우러져 관광객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간월암에 소장된 문화재로는 충청남도 유형..

한국의 사찰 2022.03.23

전남 강진. 백련사 매화(白蓮寺 梅花)

백련사 대웅보전.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백련사길 145 (만덕리 246) 대웅보전은 앞면 3칸, 옆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1702년에 중건. 대웅보전 판액. 백련사 안내문. 대웅보전 수미단. 석가. 약사. 아미타불의 삼세불좌상. 석가불은 현재불, 약사불은 과거불, 아미타불은 미래불을 상징한다. 후불탱화는 석가후불화인 영산회도. 명부전. 명부전 불상. 명부전 앞 백매화. 백매화. 응진당과 홍매화나무. 홍매화. 만경루. 삼성각과 배롱나무. 육화당(六和堂) 템플스테이(temple stay) 사찰에 머물면서 불교문화와 사찰 생활을 체험하는 일. 만경루와 배롱나무. *다녀온 날: 2022년 2월 20일.

한국의 사찰 2022.03.04

전남 강진. 무위사 홍매화(無爲寺 紅梅花)

무위사 일주문. *주소: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546. *무위사 홍매화를 보러 2021년 2월 21일 다녀갔지만 금년에 다시 찾았다. 홍매화가 한그루 밖에 없지만 사진사들이 홍매화를 촬영하느라고 열심들이었다. 무위사 대웅전 건너편의 홍매화 한 그루가 이른 봄에 봄소식을 전하고 있다. 무위사 홍매화(無爲寺 紅梅花) 수령은 약 120년, 수고 5.9m, 수폭 5m정도의 진분홍의 겹꽃이다. 밑에서 3개의 줄기로 갈라지며 수형은 단아하며 수세가 좋다. 절집의 마당을 넓게 두고 극락보전을 바라보고 있다. 홍매화의 암향과 빛 고운 꽃잎을 간직한 매화가 넙직한 절 집의 마당을 밝혀주고 있다. *무위사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본 블로그에서 무위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붉게 핀 홍매화. 홍매화와 보제루. 극락보전(..

한국의 사찰 2022.03.02

전남 장흥. 용화사(龍華寺) 약사여래좌상

용화사 입구에서 바라본 전경.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6호. (1974년 09년 24일 지정) 용화사 약사여래좌상 (龍華寺 藥師如來坐像) *주소: 전남 장흥군 장동면 석교상방이길 89-114 (북교리 산 43) 전라남도 장흥의 야산 계곡에 있는 불상으로 어느 개인이 지은 조그마한 암자에 모셔져 있다. 1매의 화강암 석재를 가공하여 불상과 광배(光背)를 하나의 돌에 만든 석불좌상이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뚜렷하며, 갸름한 얼굴과 정제된 이목구비의 표현 등에서 세련된 느낌과 함께 부처의 위엄을 느낄 수 있다. 신체는 인체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묘사하여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옷은 양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주름이 도식적으로 표현되었다.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올리고 손바..

한국의 사찰 2022.02.25

전남 장흥. 신흥사(新興寺) 송광사 말사.

장흥. 신흥사(新興寺) 신흥사(新興寺)는 장흥군 장흥읍 연산리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 송광사의 말사이다. *주소: 전남 장흥읍 연산1길 7-46 (연산리 96-3) 장흥 신흥사는 언제 창건되었는지 알 수 없다. 현재 살펴 볼 수 있는 것은 1747년에 쓰여진 에 '신흥사가 관서재(官書齋)에 가깝게 자리하여 허물었다'는 내용과 1751년 해남 일성산 "정방사명 동종(井方寺銘 銅鐘)"이 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후기에 억압 속에서도 사세가 유지되었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경내에 고려시대로 추정(한국의 사찰문화재 전라남도Ⅲ, 2006)되는 석탑재가 남아 있어 그 창건 년대에 대한 정밀한 사료조사가 필요하다. 근대기 연혁은 1927년 용해(龍海)스님이 중건하였으나 곧 퇴락하였..

한국의 사찰 202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