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찰 207

전남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월남사지 삼층석탑(月南寺址 三層石塔) 보물 제298호. *소재지: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854(월남1길 100) 월남사터에 남아있는 삼층석탑으로, 단층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바닥돌 위에 기둥 모양의 돌을 세우고 그 사이를 판돌로 채운 뒤 넓적한 맨 윗돌을 얹어 조성하였다. 탑신부의 1층 몸돌은 매우 높으며, 2층 몸돌부터는 그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지붕돌은 기단보다 넓게 시작하였으며, 밑의 받침은 3단을 두었다. 지붕돌의 윗면은 전탑에서와 같이 계단식 층단을 이루었고, 추녀는 넓게 수평의 직선을 그리다가 끝에서 가볍게 들려있다. 탑신의 모든 층을 같은 수법으로 조성하였고 위로 오를수록 낮은 체감률을 보인다. 탑의 머리부분에는 받침 위에 꾸밈을 위해..

한국의 사찰 2021.02.26

전남 강진. 무위사 홍매화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極樂寶殿) (국보 제13호) *소재지: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546. 강진 무위사는 이미 몇차례 탐방하여 블로그에 포스팅되어 있다. 이번 탐방은 무위사 극락보전 앞에 달랑 한 그루있는 홍매화를 촬영하기 위하여 들린 것이다. 그런데 예상대로 홍매화가 붉은 자태를 뽐내며 활짝 피어 있어 매우 반가워 여러 컷을 기분좋게 촬영하여 올려봅니다. 무위사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이미 포스팅되어 있는 것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극락보전(極樂寶殿) 현판.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안내문. 배례석과 당간지주. 무위사 홍매화(無爲寺 紅梅花) 수령은 약 120년, 수고 5.9m, 수폭 5m정도의 진분홍의 겹꽃이다. 밑에서 3개의 줄기로 갈라지며 수형은 단아하며 수세가 좋다. 절집의 마당을 넓게 ..

한국의 사찰 2021.02.24

전남 해남. 연당리 석조미륵불입상(용화당)

해남 연당리 석조미륵불입상 보호각 용화당. 해남군 향토문화유적 제8호. *주소: 전남 해남군 황산면 연당리 374-4. 용화당(보호각) 황산면 연당리 연당마을 당산나무 아래 용화당에 모셔진 미륵불이다. 연당은 저수지의 붉은 연(蓮)과 미륵당(堂)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안내문에는 연당리(蓮戇里)로 표기되어 의아스럽다. 조성연대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고려시대까지 편년이 올라갈 것으로 보이며, 이곳은 해남에서 우수영으로 가는 중요한 교통로였던 남리역 근처라고 전한다. 미륵입상은 상호의 훼손이 심하여 얼굴 형태는 알 수 없으나 귀는 길고 오른손은 길게 늘어 뜨리고 왼손은 가슴에 둔 수인이다.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삼도를 표현한 듯 보인다. 예전 채색 흔적이 남아 있다. 안내문에 의하면 석가모니불로 추정하며..

한국의 사찰 2021.01.18

전남 해남. 서산대사 사우. 표충사(表忠祠)

ㅅ 표충사 전경.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주소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8-1. 전화 061-534-5502. 표충사(表忠詞)는 서산대사의 영정을 봉안한 사액사우(賜額寺宇)로서, 서산대사의 위국충정을 기리고 그의 선풍이 대흥사에 뿌리내리게 한 은덕을 추모하기 위해 1669년(현종 10)에 건립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계 맞배건물로 장대석 기단 위에 자리한다. 건물 외부는 자연초석 위에 두리기둥을 세우고 그 전면에 2분합의 띠살문을 단장하였으며, 측면과 배면은 판벽으로 마감하였다. 어칸 상부에는 1789년(정조 13)에 정조대왕이 하사한 '표충사(表忠祠)' 편액이, 향우측 칸 위에는 '어서각(御書閣)'이란 편액이 있으며, 단조로운 채색의 단청으로 사당의 위엄을 갖추고 있다. 특히..

한국의 사찰 2020.11.09

전남 해남. 천년고찰 대흥사(大興寺)

해남, 대흥사 일주문. 해남 대흥사는 2017년 가을부터 매년 가을 단풍철에는 들렸다. 들릴 때마다 크게 달라진 것은 없으나 금년에 달라진 점은 대웅전에 봉안되었던 부처님을 개금 불사하기 위해 임시 법당으로 이운하였고 대웅전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었다.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산8-1) 대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대둔사(大芚寺)라고도 불린다. 《만일암고기》(挽日菴古記)에 따르면 신라의 승려였던 정관(淨觀)이 서기 426년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죽미기》(竹迷記)에는 544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을 자장과 도선(道詵)이 중건했다고 되어 있다. 2009년 12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

한국의 사찰 2020.11.06

전남 해남. 천년고찰 대흥사(大興寺)

해남, 대흥사 일주문. 해남 대흥사는 2017년 가을부터 2018년. 그리고 2019년 가을까지 3차례를 들렸다. 들릴 때마다 크게 달라진 것은 없으나 필자의 집에서 가까운 곳의 단풍을 구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들리게 되었다. 그런데 금년에는 단풍이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닌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 다녀온 날: 2019년 11월 17일.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산8-1) 대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대둔사(大芚寺)라고도 불린다. 《만일암고기》(挽日菴古記)에 따르면 신라의 승려였던 정관(淨觀)이 서기 426년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죽미기》(竹迷記)에는 544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을 자..

한국의 사찰 2019.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