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사랑방 80

강강수월래 유래

강강수월래 강강수월래 임진왜란 때, 당시 수군통제사인 이순신이 수병을 거느리고 왜군과 대치하고 있을 때, 적의 군사에게 해안을 경비하는 우리 군세의 많음을 보이기 위하여, 또 왜군이 우리 해안에 상륙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하여, 특히 전지(戰地) 부근의 부녀자들로 하여금 수십 명씩 떼를 지어, 해안지대 산에 올라, 곳곳에 모닥불을 피워 놓고 돌면서 '강강술래'라는 노래를 부르게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싸움이 끝난 뒤 그곳 해안 부근의 부녀자들이 당시를 기념하기 위하여, 연례 행사로서 '강강술래' 노래를 부르며 놀던 것이 전라도 일대에 퍼져 전라도 지방 특유의 여성 민속놀이가 되었다. '강강술래'라는 말은 한자의 '强羌水越來'에서 온 것이 아니라, 우리말에서 유래하는 것이다. '강강'의 '강'은 주위...

고전 사랑방 2011.06.25

속담과 관련된 고사성어

속담과 관련된 고사성어. 속담과 격언은, 인류가 오랜 역사적 경험 속에서 체득한 삶의 지혜를 간결한 표현으로 나타낸, 민간에 널리 알려진 문장을 말한다. 속담과 격언은 짤막한 말 한마디이지만 그 속에는 사리(事理)에 꼭 맞는 진리가 있고 세상을 바르게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될 교훈이 살아 숨쉰다. 그 속에는 촌철살인의 무서운 힘이 있다.속담과 격언 양자 사이에 명확한 한계를 짓기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지만, 대체로 격언은 속담에 비해 발생 유래나 출처가 분명하며 주로 삶의 올바른 이치, 도덕률, 행동 규범 등이 강조된 것만을 말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이에 반해 속담은 격언과 같이 삶에 대한 교훈적 요소를 담고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우리말 속담은 대개 실학자들에 의하여 한역(漢譯)되어 전해지는 데 ..

고전 사랑방 2010.04.08

차례상 차림법

차례상 차림법 1열 : 시접, 잔반을 놓고 메를 올린다. 추석 차례상에는 송편, 설날엔 떡국 2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오른쪽, 육류는 왼쪽 두동미서(頭東尾西) - 어류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3열 : 고기탕, 생선탕, 두부탕 등의 탕류를 놓는다. 4열 : 좌포우혜(左鮑右醯) - 왼쪽에 포, 오른쪽에 식혜 5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과일, 약과, 강정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일은 오른쪽 유의 사항 주의사항 : 과실 중 복숭아는 쓰지 않는다. '치'로 끝나는 생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는다. 진설법 : 건좌습우(乾左濕右) 접동잔서(接東盞西) *차례(설, 추석)때에는 무축, 단잔으로 행한다.

고전 사랑방 2010.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