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채 27

전남 화순. 화가, 오지호 생가(吳之湖 生家)

오지호 생가.吳之湖 生家.  등록문화재 제274호.(2006.09.19)  *주소: 전남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277-1번지.    1800년대에 건립된 이 건물은 한국 근대 서양 화단의 거목이자 한국적 인상주의 화풍의 개척자인 오지호(1905~1982) 생가로, 이 지역의 일반적인 민가 구조인 ‘一’자형으로 되어 있다.  정면 7간으로 이루어진 사랑채와 안채가 앞뒤로 자리 잡고 있으며, 화실의 반은 마루 구조로 되어 있고 반은 온돌 구조로 되어 있다.  오지호가 어린 시절을 보냈고 일본 유학 후 한동안 기거하면서 작품 활동을 했던 곳이다.   오지호 생가 안내문.   화가 오지호 표석.   민가 구조인 ‘一’자형의 사랑채.   민가 구조인 ‘一’자형의 안채.   뒷편에서 본 사랑채.   안채 마루.  ..

문화재 탐방 2025.03.17

전남 영광. 연안김씨 종택. 매간당(梅磵堂) 중요민속문화재 제234호.

영광. 매간당(梅磵堂) 고택. (구, 연안김씨 종택: 延安金氏 宗宅)  중요민속문화재 제234호.(1998.01.05)   *주소: 전남 영광군 군남면 동간길 2길 83-1 (동간리 166)   평야가 보이는 산아래 자리잡은 연안김씨의 집성촌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옛집이다. 16세기 중엽에 김영(金榮)이 군수로 부임하는 숙부 김세공을 따라 영광에 온 이후 연안김씨 직강공파가 이곳에 정착하게 되었다고 한다.  풍수지리상 '매화꽃이 떨어지는 형국' 또는 '학 형국'이라고 일컬어지는 길지(吉地)에 넓게 자리잡은 북향집으로 연안김씨의 종가이다.  고종 5년(1868)에 지었으며, 아래채는 1942년에 지은 것이다.사랑마당을 중심으로 사랑채·서당·마부집·연못 등을 배치하였고, 중문을 통하여 안으로 들어서면 안마당..

문화재 탐방 2024.06.14

전남 함평. 석정 안후덕 선생 생가(石汀 安厚德 先生 生家)

석정 안후덕 선생 생가.(石汀 安厚德 先生 生家)  *주소: 전남 함평군 월야면 예동길 103-26.     석정 안후덕 선생(본관 죽산)은 함평군 월야면 예덕리 예동 마을에서 출생(1905. 11. 11)하여 휘문중학교 수학 중 일강 김철 선생을 만나 임시정부운영자금을 내고 백범 김구 선생 애국단에 가입(19세), 활동 중 군자금 모집 사명을 띄고 일시 귀국하여, 전 재산을 저당하고 당시 거금 45,000원을 임시정부 운영자금으로 헌납(21세), 중국 본부 한인청년동맹에 가입, 상해총회에서 상해지부위원장 선출, 항일격문 상해 시내에 살포,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 중 다시 독립자금을 모금하기 위해 귀국 중 체포되어 징역 5년을 선도 받고 복역, 출옥 후 42세의 짧은 생을 마칠 때까지 조국의 독립을 위해 ..

발길을 따라 2024.05.31

전남 장흥. 장흥위씨. 신와고택(新窩古宅) 중요민속문화재 제269호.

신와고택(新窩古宅) 구, 위봉환 가옥. 중요민속문화재 제269호. (2012. 04. 13) *주소: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길 111-17 (방촌리 461) 신와고택(神窩古宅)은 장흥위씨 훈도공파(訓導公派) 지장손 집으로 신와(新窩) 위준식(魏準植, 1870~1947)이 옛집을 고쳐 지금의 형태를 갖추었다.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사람은 위준식의 할아버지 위영형(魏榮馨, 1808~1855)이며, 고택은 안채, 사랑채, 사당, 곳간채, 헛간채, 문간채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건물의 정면은 서향이다. 이 고택의 대표적인 건물인 안채는 1925년경에 지어졌다. 앞과 왼쪽에 툇마루를 둔 6칸 규모의 큰집이다. 대가족이 생활하기 알맞은 구조로 당시 가족규모와 경제력을 짐작케 한다. 안채와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사..

문화재 탐방 2023.11.20

전남 장흥. 장흥위씨. 죽헌고택(竹軒古宅) 전남 민속문화재 제6호.

죽헌고택(竹軒古宅) *구, 위성룡 가옥. 전남 민속문화재 제6호. (1986년 2월 7일) *주소: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길 101 (방촌리 477) 장흥 죽헌고택 안내판. 장흥 죽헌고택(竹軒古宅)은 관산읍 방촌마을 중심에 위치한 장흥위씨 청계공파 지장손 집이다. 1986년 2월 7일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 죽헌고택(竹軒古宅)은 위계창(1861~1943)이 살았던 집으로 죽헌은 그의 호이다. 과거에는 장흥 위성룡 가옥으로 불리다가 현재에는 "장흥 죽헌고택"으로 불리고 있다. 위계창은 파조 청계 위덕의의 10대손으로 위덕의는 선조 6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장흥에서 의주까지 90일간 걸어서 피난 중인 선조를 알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남도지역의 전형적인 양반가의 주택으..

문화재 탐방 2023.11.17

전남 함평. 함평이씨. 이재혁 가옥 (전남 문화재자료 제250호)

이재혁 가옥(李載爀 家屋)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0호. (2004.02.13. 지정) *주소: 전남 함평군 함평읍 남일길 83-4 (함평리 379-2) 이 가옥은 함평이씨 이동범(李東範, 1869∼1940)이 20세기 초반경에 건립한 것으로 전한다. 이동범의 아들인 이재혁(李載爀, 1893∼1992)이 대를 이어 거주하였는데 이 시기에 일부가 헐리고 현재는 사랑채와 문간채만이 남아 있다. 안채의 건립연대는 1917년으로 확인되었다. 전통한옥이 근대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도기 단계의 가옥으로 학술적인 가치가 높고, “ㄱ"자형 구조로 이 지역에서 보기 드문 예이다. 사랑채 뒤편에 있던 안채는 원래 7칸 겹집이었다고 하는데, 1946년경에 사랑채 동쪽 편에 세워졌던 육모정은 1948년경 각각 헐렸..

문화재 탐방 2023.10.30

전북 김제. 이석정 선생 생가. 전북 기념물 제21호.

이석정 선생 생가(李石亭 先生 生家) 전라북도 기념물 제21호. (1974년 9월 27일, 재지정: 2021년 11월 19일) *주소: 전북 김제시 백산면 요교길 187 (상정리 206) 조선 후기 실학의 대가인 석정 이정직(1842∼1910)의 생가이다. 이석정 선생 생가는 근세 실학의 대가인 이정직(李定稷: 1841~1910)이 태어난 곳으로, 1860년대에 지어졌다. 원래 건물로는 안채와 대문 옆에 사당채가 남아있으며, 헛간채는 철거된 상태다. 사학과 실학, 서화에 통달한 석정은 28세 때 중국에 가는 사신을 수행하여 중국에 머물면서 동서양의 학문을 두루 섭렵하였다. 그 뒤 이들을 종합하여 그의 학문과 사상을 집대성한 『연석산방미정고』라는 유고를 남겼다. 안채에는 부엌과 두개의 방이 자리하고 부엌 ..

문화재 탐방 2023.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