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해남. 미륵사 미륵불(彌勒佛) 미륵사 입구. 전남 해남군 산이면 산이로 1037. 미륵전. 해남군 산이면 송천리 미륵사 미륵전에 봉안된 자연 바위에 선각된 불상이다. 마애불의 안태고향은 전하지 않으나 상호부분의 훼손이 심하여 형태 파악이 어렵다. 오른손은 가슴에 왼손은 무릎 위 항마촉지인이다. 결가부좌로 보여.. 한국의 사찰 2018.05.02
전남 진도. 쌍계사(雙溪寺) 첨찰산 쌍계사 일주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1985.02.25)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299-30 (의신면) 사천왕문(四天王門) 신라 때 도선국사가 창건하였다는 이 절은 절 양편으로 계곡이 흐른다 하여 쌍계사라 이름하였다. 사찰 뒷계곡을 따라 10분 여를 오르면 천연기념물 제10.. 한국의 사찰 2018.04.25
전남 보성. 계산리 삼층석탑(三層石塔) 보성 계산리 삼층석탑.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3호(1986.09.29) 전남 보성군 복내면 계산리 590. 보성 계산리 삼층석탑 안내문. 계산리 삼층석탑은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두고,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탑이다. 원래는 기단(基壇)의 일부가 없어지고, 탑신의 3.. 한국의 사찰 2018.03.02
전남 보성. 봉능리 석조인왕상(石造仁王像) 보성 봉능리 석조인왕상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4호(1986.09.29) 전남 보성군 조성면 봉능리 188번지. 봉능리 석조인왕상. 봉능리 석조인왕상 안내문.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봉릉리 신방 마을 저수지 둑 밑의 논두렁에 서 있는 인왕상이다. 이 일대에 옛 기와조각들과 탑의 몸체부 .. 한국의 사찰 2018.02.26
전남 보성. 옥마리 오층석탑(五層石塔) 보성 월림사 범종각. (옥마리 오층석탑은 월림사 경내에 세워져 있다.) 전남 보성군 노동면 벽옥길 127(옥마리 348: 월림사) 월림사 대웅전. 보성 옥마리 오층석탑 전경. 보성 옥마리 오층석탑 안내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1호(1986.02.07) 고려 성종 15년(966)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월림사.. 한국의 사찰 2018.02.21
전남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三層石塔)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전경. 보물 제943호 (1988.04.01) 전남 보성군 조성면 우천리 326-17번지.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안내문. 벌교와 보성간의 국도변인 우천리 마을 앞 논 한가운데에 세워져 있는 탑이다. 이 곳은 절터로 추정되나 문헌에 남아 있는 기록이 없고,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징광사.. 한국의 사찰 2018.02.09
전남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보성 유신리(일월사) 마애여래좌상 전경. 보물 제944호. (1988.04.01) 다녀온 날: 2018년 1월 7일. 전남 보성군 율어면 유신길 195 (일월사)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안내문. 전라남도 보성군 율어면 거의 전체를 병풍처럼 둘러 감싸고 있는 존제산의 북쪽 기슭에 새겨져 있다. 거대한 화강암의 .. 한국의 사찰 2018.02.05
전남 해남. 연당리 석조미륵불입상 해남 연당리 석조미륵불입상 보호각 용화당. 해남군 향토문화유적 제8호. 전남 해남군 황산면 연당리 374-4. 용화당(보호각) 황산면 연당리 미륵불 안내문. 황산면 연당리 연당마을 당산나무 아래 용화당에 모셔진 미륵불이다. 연당은 저수지의 붉은 연(蓮)과 미륵당(堂)에서 유래되었다고 .. 한국의 사찰 2018.01.12
전남 해남. 대흥사 표충사(表忠祠) 호국문(護國門) 표충사 외삼문.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주소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8-1. 전화 061-534-5502. 표충사(表忠詞)는 서산대사의 영정을 봉안한 사액사우(賜額寺宇)로서, 서산대사의 위국충정을 기리고 그의 선풍이 대흥사에 뿌리내리게 한 은덕을 추모하기 위해 1669년(.. 한국의 사찰 2018.01.01
전남 해남. 대흥사(大興寺) 두륜산 대흥사 일주문.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주소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8-1. 전화 061-534-5502. 대흥사 안내문. 대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대둔사(大芚寺)라고도 불린다. 《.. 한국의 사찰 2017.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