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사랑방 80

실록으로 본 조선의 기인들 (신숙주, 이건창)

온라인 나무위키에서 빌려 옴.   *7개 국어에 능통했던 범옹(泛翁) 신숙주(申叔舟) 1417년(태종17년) ~ 1475(성종6년) (본관: 고령) 보통 4-5개의 국어에 능통한 사람을 보고도 천재라고 극찬을 한다.그런데 한 사람이 7개 국어를 할 수 있다면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바로 조선조에 영의정을 지낸 범옹(泛翁) 신숙주(申叔舟)가 주인공이다.정치적인 얘기는 접어 두고 학자적으로만 평가한다면그는 뛰어난 언어학자였으며 한국 최초의 일본 관련 책, 해동제국기를 저술하는 등 어문학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그는 특히 설총의 이두문자는 물론중국어, 몽고어, 여진어, 일본어, 등에 능통했으며인도어, 아라비아어, 까지도 터득했다고 한다. 명문가답게, 일제하에서 독립투쟁의 주역들인 단재 신채호, 신규식 선생 등이..

고전 사랑방 2024.12.10

실록으로 본 조선의 기인들 (이율곡, 이우, 이경절)

實錄으로 본 朝鮮의 奇人들.   * 이율곡(李栗谷)   아홉 번 과거시험에 모두 장원급제한 한국사의 천재.  이이(李珥, 1536년 12월 26일~ 1584년 2월 27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다. 관직은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다. 서인(西人)의 영수로 추대되었다. 이언적, 이황,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하나다.  아홉 차례의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그의 업적은 성리학에서의 이기일원론의 학문을 밝힌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국의 역사상 현인의 경지에 근접한 인물을 꼽으라면 관점의 차이는 있겠지만율곡(栗谷) 이이(李珥) 선생을 꼽는데 누구도 주저하지는 않을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율곡 선생..

고전 사랑방 2024.12.03

작심삼일(作心三日)의 유래.

작심삼일(作心三日)의 유래.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이 도체찰사(都體察使)로 있을 때의 일이다. 각 고을로 발송할 문서가 있어서 역리(驛吏)에게 주었는데, 공문을 보낸 뒤 사흘 뒤에 그 공문의 내용을 고쳐야 했다. 그래서 발송한 공문을 회수하라고 지시했더니, 그 역리가 즉시 공문을 가지고 오는 것이었다. "아니, 공문을 어찌하여 네가 고스란히 가지고 있느냐? 삼일 전 이미 발송했어야 하지 않느냐?" 유성룡은 자신의 지시가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에 대해 역리(驛吏)를 꾸짖으며 물었다. 그러자, 역리가 대답했다. "속담에 '조선공사삼일(朝鮮公事三日)'이란 말이 있어 소인의 소견으로 사흘 후에 다시 고칠 것을 예상하였고 사흘을 기다리느라고 보내지 않았습니다." 이 말을 들은 유..

고전 사랑방 2024.11.26

백일 떡에 담긴 의미들.

백일 떡에 담긴 의미들. 우리 겨레는 아기가 태어난 지 100일째 되는 날 아침. 아기를 점지하고 산모와 아기를 돌본다는 세 신령 곧 삼신할머니에게 그동안 무탈하게 돌봐줘서 고맙고 앞으로도 잘 부탁한다는 뜻으로 삼신상을 차려드립니다. 그리고 아기에게도 무병장수하라고 목에 명주실 타래를 걸어주기도 하지요. 또한 이날은 백일 떡을 친척과 이웃에 돌렸는데 100명과 나눠 먹어야 아기가 명(命) 즉, 목숨을 100명에게 사서 100살(百壽)까지 오래 산다고 믿었습니다. 백일 떡은 백설기, 수수팥떡, 인절미, 송편 등 다양합니다. 이때 백설기는 장수를 뜻하고 정결·신선함을 나타낸 것이며, 수수팥떡은 부정을 막는 뜻이 있었지요. 또 인절미는 찹쌀로 만들어 차지고 단단하기에 끈덕지고 여물기를 비손하고, 송편은 속이..

고전 사랑방 2024.11.19

부모님은 기다려 주지 않는다.

부모님은 기다려 주지 않는다. 1)수욕정이풍부지(樹慾靜而風不止) 자욕효이친부대(子慾孝而親不待)나무는 가만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자식은 효를 다하고자 하나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네. - 공자가어 구절 -  2) 백유가 잘못이 있었으므로 그 어머니가 매를 때리자 울었습니다. 그러자 어머니가 말씀하셨습니다. "다른 날에 매를 때릴 때에는 네가 일찍이 울지 않더니 지금 우는 것은 어째서이냐?"  백유가 대답했습니다. "제가 죄를 얻어 매를 맞음에 항상 아프더니, 지금은 어머니의 힘이 약해 나를 아프게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우는 것입니다.  - 소학 계고편 구절 -   孝慈之道出於天性(효자지도출어천성) *어버이에게 효도하고 자식을 사랑하는 것은 하늘이 내려 준 사람의 본성에서 나온다.  ♤학동 여러분..

고전 사랑방 2024.11.12

삼종지도(三從之道)와 오불취(五不取(娶)

삼종지도(三從之道)와 오불취(五不取(娶)   *삼종지도(三從之道) 삼종(三從)이란?“결혼하기 전에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것으로 『예기(禮記)』 「교특생(郊特牲)」과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 등의 유교 경전에 나온다.  중국 전한(前漢) 시기에 완성된 이 예서(禮書) 들은 2천년 이상의 역사를 통해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 사람들의 행위를 지시해왔다.  女子者 順男子之教 而長其理者也(여자자 순남자지교 이장기리자야)여자는 남자의 가르침을 따라서, 그 이치를 길러 주는 자입니다. 是故無專制之義 而有三從之道(시고무전제지의 이유3종지도)이 때문에 혼자서 결정하는 뜻이 없으며, 그래서 삼종(三從)의 도(道)가 있는 것입니다. 幼從父兄 旣嫁從夫 夫死從子(유종..

고전 사랑방 2024.11.05

칠거지악(七去之惡)과 삼불거(三不去)

*칠거지악(七去之惡) 7가지 내쫓을 수 있는 허물. 당(唐)나라 때의 율령법(律令法)에서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7가지의 조건을 이르는 말이다.  칠거지악(七去之惡)은 중국, 한국 등 유교 문화권에서 남편의 일방적인 의사표시로 아내와 이혼할 수 있는 7가지 이유, 다시 말해 이혼사유이다.  글자 그대로는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7가지 잘못'이라는 뜻이다. 《공자가어》에 처음으로 이런 내용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7가지 잘못은 다음과 같다. 1.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음(不順父母)2. 아들이 없음(無子)3. 음탕함(不貞)4. 질투함(嫉妬)5. 나쁜 병이 있음(惡疾)6. 말이 많음(口說)7. 도둑질을 함(竊盜) 그러나 칠거지악에 해당하는 잘못을 지었더라도 다음과 같은 3가지, 삼불거(三不去) 경우에는 내..

고전 사랑방 2024.10.29

삼강오륜(三綱五倫)

삼강오륜(三綱五倫)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과 5가지의 도리를 이르는 말. *삼강(三綱)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 *오륜(五倫)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삼강(三綱) 1. 군위신강(君爲臣綱): 임금과 신하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2. 부위자강(父爲子綱):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3. 부위부강(夫爲婦綱): 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오륜(五倫) 1.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함. 2. 부자유친(父子有親):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함. 3. 부부유별(夫婦有別):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고전 사랑방 2024.10.22

강강수월래(强羌水越來)

다음 이미지에서 옮겨온 사진.  강강수월래(强羌水越來) 임진왜란 때, 당시 수군통제사인 충무공 이순신 장군께서 조선 수병을 거느리고 왜군과 대치하고 있을 때, 적의 군사에게 해안을 경비하는 우리 군세의 많음을 보이기 위하여...또 왜군이 우리 해안에 상륙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하여, 특히 전지(戰地) 부근의 부녀자들로 하여금 수십 명씩 떼를 지어, 해안지대 산에 올라, 곳곳에 모닥불을 피워 놓고 돌면서 '강강술래'라는 노래를 부르게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싸움이 끝난 뒤 그곳 해안 부근의 부녀자들이 당시를 기념하기 위하여, 연례행사로서 '강강술래' 노래를 부르며 놀던 것이 전라도 일대에 퍼져 전라도 지방 특유의 여성 민속놀이가 되었다. '강강술래'라는 말은 한자의 '强羌水越來'에서 온 것이 아니라, ..

고전 사랑방 2024.10.15

경조사 단자 쓰는 법

경조사 단자 쓰는 서식. ▒ 승진, 취임, 영전, 퇴임 등을 축하하며. 祝 昇進 (축 승진: 직위가 오를 때). 祝 榮轉 (축 영전: 더 좋은 자리로 전임을 할 때). 祝 就任 (축 취임: 맡은 자리에 처음으로 일하러 나아갈 때). 祝 轉任 (축 전임). 祝 移任 (축 이임). 祝 遷任 (축 천임: 다른 관직이나 임지로 옮길 때). 祝 轉役 (축 전역: 다른 역종으로 편입될 때). 祝 榮進 (축 영진). 祝 赴任 (축 부임). 祝 進給 (축 진급). 祝 戰役 (축 전역). 祝 凱旋 (축 개선)▒ 개업, 창립, 이전 등을 축하하며. 祝 發展 (축 발전: 좋은 상태로 나아가라고). 祝 開業 (축 개업: 영업시작을 축하하며). 祝 盛業 (축 성업: 사업이 잘되기를 바라며). 祝 繁榮 (축 번영: 일이 성하게 ..

고전 사랑방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