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766

전남 무안. 송현리 곰솔

무안 송현리 곰솔.소재지 : 전남 무안군 망운면 송현리 290번지.전라남도 기념물 제148호. 곰솔은 소나무과로 잎이 소나무 잎보다 억센 까닭에 곰솔이라고 부르며, 바닷가를 따라 자라기 때문에 해송으로도 부른다. 또 줄기껍질의 색이 소나무보다 검다고 해서 흑송이라고도 한다. 바닷바람과 염분에 강하여 바닷가의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이나 방조림으로 많이 심는다. 무안 망운면의 곰솔은 송현리 두모마을 도로가에 있으며, 약 3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 4그루가 있었으나 2그루는 죽고 현재 2그루만 자라고 있다. 한 그루는 높이 18m에 둘레 3.2m이고, 또 한 그루는 줄기가 땅에서부터 두 개로 갈라져 있는데 둘레가 각각 2.8m와 3m이다. 김해 김씨가 약 400년 전에 이곳에 정착하면서 이 숲을..

문화재 탐방 2015.01.08

전남 영광. 내산서원(內山書院)

수은(睡隱) 강항(姜沆)선생  동상. 내산서원(內山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28호. 전남 영광군 불갑면 쌍운리 22-2번지.  내산서원은 조선 중기 문신인 강항(姜沆:1567∼1618)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강항(姜沆)선생은 공조좌랑과 형조좌랑에 있던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활동하다가 왜적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되었다. 일본에 있으면서 그 나라의 역사, 지리 등을 알아내어 고국으로 보내기도 하면서 일본에는 성리학을 전하였다. 선조 33년(1600) 귀국한 후 벼슬을 사양하고 독서와 후진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이 서원은 인조 13년(1635)에 나라에서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을 내려주었고 숙종 28년(1702)에 고쳐 세웠다. 일제시대 때에도 고쳐지었는데 그 뒤로도 여러 차..

문화재 탐방 2015.01.06

전남 함평. 팔열부정각(八烈婦旌閣)

함평 팔열부정각(八烈婦旌閣) 전라남도 기념물 제8호.1975. 05. 22. 전남 함평군 월야면 월야리 155-1번지.   팔열부정각(八烈婦旌閣) 안내문.  팔열부정각(八烈婦旌閣)은 여덟 분(정함일의 부인 이씨와 그의 딸 정씨· 정경득의 부인 박씨· 정희득의 부인 이씨· 정운길의 부인 오씨· 정주일의 부인 이씨· 정절의 부인 김씨· 정호인의 부인 이씨)의 열녀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정각이다. 여덟 분의 열녀 이들은 선조 30년(1592) 정유재란 때 왜군들과 맞서 싸운 남편들의 전사소식을 듣고 피난을 가다 왜군들의 추격을 받고 칠산 앞 바다에 투신함으로서 정절을 지켰다고 한다. 숙종 7년(1681) 함평에 정각을 세우고 순절지인 묵방포에는 순절비를 세웠다.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

문화재 탐방 2015.01.05

전남 함평. 영파정(潁波亭)

함평 영파정(潁波亭)  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168호. 전남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906-2번지.   영파정(潁波亭) 안내문. 영파정(潁波亭)은 세조 1년(1455) 단종의 폐위와 세조의 왕위찬탈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영파정 이안(1414∼?)이 자신의 호를 따 지은 건물이다. 처음 세운 시기는 1450∼1460년대로 추정한다.  그 후 영파정은 함풍 이씨 가문에서 관리해 온 것으로 보이는데 자세한 사실은 밝혀지지 않았다. 정유재란(1597) 중에 불에 타 없어진 후 영수정이란 이름으로 다시 지었으며, 1820∼1821년 사이에 군수 권복과 김상직이 현재와 같은 규모로 지었다.  그 뒤 고종 20년(1883) 크게 보수하고, 1966년 수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

문화재 탐방 2015.01.03

전남 함평. 천주교회. 등록문화재 제117호.

함평 천주교회. 등록문화재 제117호. 전남 함평군 함평읍 내교리 340번지.  함평 천주교회는 1949년에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한국전쟁이 일어나 북한군에 파괴되었다가 1951년에 함평을 방문한 교황 사절단의 지원으로 공사가 다시 시작되어 1952년에 완공되었다. 그 당시 완공된 함평 천주교회는 원래의 모습 그대로 현재 함평군청 앞 광로에서 약간 벗어난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붉은 벽돌이 외벽마감으로 지상 2층의 건물로 창문부분이 아치형상으로 되어있고 정면 지상 2층 상부에는 첨탑이 형성되어 있어 천주교 건축의 특징을 나타내 주고 있다. 벽돌길이는 19cm의 길이로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게 보전되어 있으며 들여쌓기나 내쌓기는 보이지 않고 일층과 이층을 구분하는 띠줄이 있어 2단적인 입면을 보이고 있다. 입..

문화재 탐방 2015.01.02

전남 함평. 급수탑(給水塔) 등록문화재 제63호.

함평 구 학다리역 급수탑. 등록문화재 제63호로 2003년 6월 30일에 등록 지정됨.  전남 함평군 학교면 학다리길 279.  이 급수탑은 1921년 건립된 시설물로서 과거 증기기관차가 다닐 때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립된 급수탑이다. 급수 시설로서 34년 동안 철도 운송에 큰 역할을 했으나, 점차 디젤기관차로 대체되면서 1955년에 급수탑의 기능을 잃은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국적으로 보기 드문 돌로 만들어진 석조 원형탑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모양이 같게 구성되었다. 근대화 과정에서 교통사적 요충지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철도 시설물로서 가치가 높다 하겠다.   다른 방향에 본 급수탑.   등록문화재 제63호 함평 구 학다리역 급수탑 표찰이 붙여져 있다.   급수탑 주변을 철조망으로 막아두었다.   ..

문화재 탐방 2014.12.30

전남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111호.

상만리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111호.  소재지: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 681-1번지.  상만리 비자나무는 오층석탑으로 유명한 구암사에서 약 300여미터 아랫마을 입구에 서있는 마을의 수호신과 같은 존재라 할 수 있다. 비자나무는 우리나라의 내장산 이남과 일본 등지에서 자란다. 나무의 모양이 아름다워서 마을 주변에 많이 심으며, 열매는 구충제 및 변비 치료제나 기름을 짜는데 쓰인다. 임회면의 비자나무는 나이가 6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12.0m, 가슴높이 둘레 6.35m에 달한다. 가지가 무성하게 자라 좋은 그늘을 만들어주고 있어 쉼터 역할도 한다. 이 비자나무는 1,000년 전에 세워졌던 구암사 경내에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가 사람들을 보호해주고 있기 ..

문화재 탐방 2014.12.27

전남 진도. 왕온의 묘. 기념물 제126호.

왕온의 묘역.   기념물 제126호. 1988년 12월 21일 지정.  주소: 전남 진도군 의신면 침계리 산45번지.    왕온(王溫) 묘 안내문.  왕온(王溫)은 원종 11년(1270)에 고려와 중국 원나라 사이의 전쟁이 끝나고 강화로 피난하였던 왕실이 개경으로 돌아오는 것을 반대하던 삼별초의 배중손· 노영희 등에 의하여 왕으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고려 원종 12년(1271) 고려와 몽고의 연합군에 삼별초가 크게 패하자 아들 환(桓)과 여·몽 연합군의 지휘자 홍다구(洪茶丘)에게 살해되었다.  김용규가 지은 진도군 읍지『옥주지』에 왕온의 기록이 나오며,『진도군지』에 의하면 왕온의 묘는 왕분치(王墳峙)라 한다고 한다. 왕온 무덤은 흙으로 높게 쌓은 긴 타원형의 모양이며, 봉토 주위에는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문화재 탐방 2014.12.24

전남 진도. 정유재란 순절묘역. 문화재 자료 제216호.

정유재란 순절묘역 이정표. 주소: 전남 진도군 고군면 도평리 산 117-3외.새길주소: 전남 진도군 오일시1길 100.문화재 자료 제216호. 지정일 2001년 9월 27일.  정유재란 순절묘역. 진도대교를 지나 줄곧 18번도로를 따라가다 세동삼거리에서 오일시방면으로 진행하다보면 길 좌측으로 정유재란 순절묘역이라는 이정표가 눈에 띄고 바로 뒤로 사당이 자리하고 있으며 사당 뒷편 언덕을 이룬 산에 꽤많은 무덤이 소리없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게 바로 정유재란 순절묘역이다.  아래 글은 진도군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진도는 정유재란 때 울돌목을 중심으로 수군전이 전개되어 가장 큰 희생이 있었다. 1597년 9월 15일 진도 벽파진에 도착한 이순신 장군은 16일 명량에서 대첩을 거두었으나 곧바로 신..

문화재 탐방 2014.12.19

전남 함평. 고막천 석교. 국가지정 문화재 보물 제1372호.

함평 고막천 석교 전경. 국가지정 문화재 보물 제1372호.전남 나주시 다시면 송촌리 982   국가지정 문화재 보물 제1372호로 등록된 전남 함평군 학교면 고막리에 있다는 고막천 석교를 찾아 길을 나섰다. 함평군 학교면 고막천로 643으로 입력하고 국도1번 도로의 함평천지휴게소를 지나자 우측으로 고막로와 석정리로 빠져드는 길이 나온다. 그 길로 들어서면 바로 석정리와 고막로의 갈림길이 나오는데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약 100여미터를 가니 고막천 석교 안내판이 세워져있다. 이 고막천 석교는 나주군 문평면과 함평군 학교면을 경계짓는 고막천은 동서로 가로지르는 다리로서. 일명 똑다리, 떡다리, 고막교(古幕橋), 고막돌다리라고도 한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다리는 1273년(고려 원종 14) 당시 덕..

문화재 탐방 2014.12.01